-
췌장암 환자, 항암치료 중 근육량 보존이 생존에 중요한 영향
-
저밀도 플라스마 활용, 피부손상 없이 진피층에 약물 전달
-
소변 DNA 메틸레이션 검사만으로 방광암 조기진단 가능 … 고위험 방광암 진단 민감도 89.2%
-
고려대 순환기내과, 인공지능 딥러닝 활용 급성 심부전 조기진단 모델 개발
-
어지럼증, 여성·불면·스트레스·우울증이 어지럼증의 주요 요인으로 확인
-
안지인 성균관대 교수, 아밀로이드 베타 생성 억제 기전 규명
-
서울대병원, 환자맞춤형 모델로 경피적 폐동맥판막삽입술 예후 예측 기술 개발
-
-
슬개골 재발성 탈구 치료 ‘슬개대퇴인대 재건술’, 5년 장기 효과 국내 최초 확인
-
서울대병원-POSTECH, 3D 뇌혈관 장벽 모델 개발 … 신경퇴행성질환 연구 기여
-
-
최정미 아주대 의대 교수, 뇌내 ‘Go 단백질’ 신경전달물질 항상성 유지 기전 규명
-
젊은 당뇨병 환자, 심혈관·신장 합병증 및 사망 위험 높아
-
김경미 고려대 교수팀, 편집기술 향상된 소형 유전자 가위 ‘eCas12f1로’ 개발
-
삼성서울병원, 경피적 승모판막 재치환술(TMVR) 시행
-
고집적 초음파 이용 뇌혈관장벽 개방술로 알츠하이머병 치료 가능성
-
청소년기 전후로 골반뼈 2차골화중심이 비구의 테두리 따라 출현
-
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한국 최초 바흐만 다발 심조율 10례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