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모세포종 재발, 인접암의 재발 아닌 원격 신경줄기세포에서 유래
-
노인 근감소증 평가에 ‘종아리둘레’ 선별기준으로 가장 효과적
-
심전도 AI 분석이 의사보다 급성심근경색 진단 능력 우월
-
유방암,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병행하면 수술 단독 대비 림프부종 위험 1.5배↑
-
수술 불가능한 췌장암, 3000V 전기천공치료 효과 … 주변 장기 손상 최소화, 암세포 괴사
-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 국내 단일 기관 최초 반월 연골판 이식술 후 기능 회복 과정 규명
-
근육량 적고 내장지방 많으면 폐기능 저하 최대 4배
-
-
한승규 고려대 교수, 나노지방 활용한 피부암 재건 신기술 개발
-
서울대병원, 파킨슨병 환자 위한 스마트폰 기반 ‘음성장애’ 디지털 원격 치료기기 개발
-
심장마비 환자 생존율, 에크모(ECMO) 사용 시점에 따라 달라진다
-
고려대 구로병원, 복막전이 위암에 ‘복강내 항암제+전신 항암제 병용요법’ 2상 성공
-
국립암센터, 한국인 암 환자의 PALB2 유전자 변이 발생 빈도 확인
-
김정현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과 교수, 음성 기반 스트레스 측정 딥러닝 모델 개발
-
광용적맥파, 혈압, 심박수로 수술후 통증 평가 ‘객관화’
-
고령 환자의 인공와우 이식후 청력 회복, ‘뇌 건강’에 달렸다
-
난치성 내성발톱 치료, 발톱 아닌 주변 살 제거가 효과적
-
척추 유합수술 후 통증은 ‘관절 통증 주사’로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