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제약바이오
삼성라이프사이언스 펀드, 이중항체-이중페이로드 ADC 전문기업 中 프론트라인에 투자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1-25 10:01:57
  • 수정 2025-11-25 15:43:01
기사수정
  • 지난 10월 삼성바이오에피스-프론트라인 전략적 제휴에 이은 협업 안정성 및 실행력 강화 노력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 출자해 생명과학 분야 신기술 및 사업 개발을 위해 조성한 삼성라이프사이언스 펀드가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기술 플랫폼과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중국 프론트라인바이오파마(Phrontline Biopharma)에 투자한다고 25일 밝혔다.

 

ADC는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antibody)를 링커(linker) 기술을 통해 암세포를 사멸하는 약물(Payload)과 결합한 구조의 의약품으로, 선택적 암세포 사멸 효과로 인해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낮출 수 있다. 


삼성 펀드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항암 모달리티(치료 방식)인 ADC를 지목하고 이번에 투자에 나섰다. 이번 투자는 시리즈 pre-A  단계 투자에 해당하며 구체적인 투자금액과 확보한 지분율에 대해 삼성 펀드 측은 비공개라며 알리지 않았다. 

 

삼성 펀드는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Bispecific antibody and Dual-payload) 기반 차세대 ADC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는 프론트라인 투자를 통해, 유망한 미래사업 발굴 및 ADC 핵심 연구를 강화할 방침이다. 

 

프론트라인의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 플랫폼은 페이로드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상호보완적 작용을 하는 두 가지 페이로드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단일 페이로드 또는 단일 표적 ADC가 나타내는 한계인 내성, 종양 이질성(동일 종양 조직 안에서도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암 세포들이 함께 존재) 취약, 반응 지속성 부족 등을 극복할 수 있다.

 

프론트라인은 현재 이중 항체 ADC에 대한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이며, 내년 1분기에는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 기술이 적용된 ADC의 임상 진입이 예정돼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10월 프론트라인과 ADC 분야 신약후보물질 개발 및 제조, 상업화를 위한 공동연구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프론트라인이 보유한 파이프라인 2종의 공동 개발권을 확보했으며, 페이로드 1건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다른 개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독점적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지난 10월 공동연구 파트너십에 대한 협력 구조를 공고히 했으며, 삼성의 핵심 연구 자원 공유와 기술 상호 발전을 위한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의 전략적 행보를 가시화했다. 협업 안정성과 실행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중국 프론트라인바이오파마(위), 삼성바이오에피스 로고

서민정 삼성바이오에피스 탐색팀장(상무)는 “프론트라인과 파트너십에 이어 투자까지 진행하면서 글로벌 ADC 시장에서 의미 있는 기술적 영향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며, 다양한 파트너십 및 투자를 통해 미래기술에 대한 준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벤처투자가 운용 중인 삼성라이프사이언스 펀드는 2021년 결성 이후 현재까지 유전자 치료제부터 ADC(항체-약물 접합체), 혈중 단백질 분석 기술, 생성형 AI 기반 단백질 신약개발, 유전자편집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에 투자해오고 있다.


한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성과 역량 기반 인사 원칙 아래 부사장에 신동훈 개발2본부장, 신지은 개발1본부 MSAT(Manufacturing Science & Technology)팀장을 25일 각각 승진 발령했다.

 

상무에는 손성훈 법무그룹장, 안소신 PE(Product Evaluation)팀 임상개발그룹장, 이남훈 전략팀 사업전략그룹장, 정의한 RA(Regulatory Affairs)팀 RA3그룹장이 상무로 승진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