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전체뉴스
비만 환자, 당뇨병 동반 여부 따라 체중감량수술 후 혈액 내 단백질 변화 차이 확인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1-20 08:55:25
기사수정
  • 이해경‧권순효 순천향대 서울병원 교수팀 연구 … 당뇨 있으면 면역 관련 단백질, 당뇨 없으면 반응산소종 관련 단백질 변화
  • 당뇨병 동반 비만 환자서 수술 후 만성 염증, 인슐린 감수성, 산화 스트레스 호전 증후 관찰

비만·당뇨병 환자에서 체중감량수술(비만대사수술) 후 대사기능 회복뿐만 아니라 혈액 내 단백질 변화가 유도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에서 단백질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장내과 교수팀(제1저자 : 이해경, 참여 : 권순효)은 지난 7월 세계적인 비만 분야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에 발표한 ‘비만대사수술 전후 당뇨병이 혈중 세포외소포 단백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diabetes on proteomic changes in circulating extracellular vesicles in individuals with obesity before and after bariatric surgery)’논문에 이 같은 내용을 담았다.

 

연구팀은 이 병원 비만수술센터에서 체중감량수술을 받은 비만 환자 30명(당뇨병 12명 포함)과 건강한 대조군 37명을 대상으로 혈액 속 세포외소포 단백질을 분석했다. 세포외소포는 세포에서 분비되는 나노입자 형태의 물질로, 단백질·RNA·지질 등을 포함하고 있어 세포 간 신호 전달과 대사 조절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

 

연구 결과, 비만 환자는 정상인보다 19개의 단백질 발현이 다르게 나타났고, 비만 환자 중에서도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20개의 단백질 발현이 달랐다. 체중감량수술 후 당뇨병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14종의 단백질이 변화됐고 주로 면역시스템 관련 단백질이었다.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는 13종의 단백질이 변화하였으며, 주로 반응산소종 관련 단백질이 변화했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비만 환자에서 변화한 세포외소포 내의 단백질은 혈당조절, 체질량지수, 체중감량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확인했다. 이는 체중감량수술 후 체중이 줄어드는 것뿐 아니라 만성 염증, 인슐린 감수성, 산화 스트레스가 호전된다는 생물학적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 이해경(왼쪽)‧권순효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장내과 교수

이해경 교수는 “비만과 당뇨병은 여러 병태생리를 공유하지만 최근 두 질환의 다른 예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당뇨병이 비만 환자에서 체중감량수술 전후 세포외소포 단백질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이러한 단백질 변화 차이는 향후 비만과 당뇨병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순효 교수는 “체중감량수술이 환자의 몸속 단백질 구성을 변화시켜 염증을 줄이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과정을 확인했다”며, “이러한 단백질 변화를 조기진단이나 치료반응 예측에 활용하면, 보다 정밀한 맞춤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