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전체뉴스
강신혁 중앙대병원 교수,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심화사업’ 선정 … 유방암 재건 줄기세포‧생체재료 융합 연구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5-11-10 10:53:40
  • 수정 2025-11-10 20:27:34
기사수정
  • 곽근예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2025 한국암학술재단 학술상 … 기관지연관 림프종 치료전략 연구
  • 구성욱 강남세브란스병원장, 차기 대한의용생체공학회장 선임 … 2026년 1월부터 임기 1년
  • 임형은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소아청소년과학회 우수초록상 … 미세먼지 유발 신장 손상 완화 기전 규명

강신혁 중앙대병원 성형외과 교수

강신혁 중앙대병원 성형외과 교수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2025년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심화)’ 과제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젊은 의사과학자를 대상으로 미충족 의료수요 해결과 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융합 연구를 지원하는 국가사업으로, 강 교수는 ‘박사 후 연구성장지원(심화)’ 부문에 선정돼 2년 5개월간 약 7억 250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강 교수는 ‘유방암 재건술 후 항암·방사선 치료로 인한 조직손상 재생을 위한 지방유래 줄기세포·생체재료 융합 치료 플랫폼 및 임상 적용 기반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한다.


이 연구는 유방암 수술 이후 보조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직 손상과 창상 합병증을 줄이고, 손상 조직의 재생과 환자의 기능 회복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 교수는 “항암·방사선 치료로 인한 조직 손상 문제를 해결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임상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재생의료 치료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곽근예 고려대 안암병원 혈액내과 교수

곽근예 고려대 안암병원 혈액내과 교수가 2025년 한국암학술재단 학술상을 수상했다. 한국암학술재단은 젊은 암 연구자를 발굴해 암 치료 발전에 기여하고자 매년 우수 연구자를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곽 교수는 기관지연관 림프조직 림프종 환자의 치료 전략과 생존율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 ‘Long-term survival outcomes of “watch and wait” in patients with bronchus-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a multi center real-world data analysis in Korea’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곽 교수는 국내 상급종합병원 환자들의 장기추적 데이터를 최대 19년간 분석해, 초기 국소 병기 환자의 경우 항암치료 없이도 10년 생존율이 100%에 달함을 확인했다. 또한 양측 폐 침범이나 폐 외 장기 침범이 있는 환자에서 재발 위험이 높다는 점을 규명했다.


곽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항암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환자군을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한 성과”라며 “환자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을 위해 후속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구성욱 강남세브란스병원장

구성욱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장(신경외과)이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제33대 회장으로 선임됐다. 임기는 2026년 1월 1일부터 1년간이다. 이번 선임은 지난 6일부터 3일간 인제대 김해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결정됐다.


1979년 7월 창립된 대한의용생체공학회는 의학·공학·생물학 등 융합 학문 전문가 약 8000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의공학 분야의 학술 및 기술 발전과 지식 교류를 촉진하며 사회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다.


구성욱 차기 회장은 "취임 후 ‘아시아-태평양 의용생체공학 학술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추진하고, 학술지 활성화와 회원 참여 확대, 산·학·연·병 협력체계 강화, 관련 학회와의 교류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형은 고려대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임형은 고려대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주최한 ‘제75차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 초록상을 수상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6~7일 서울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렸으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분과전문의들이 참여해 전 연령대의 건강 증진을 주제로 최신 연구를 공유했다.


임 교수는 ‘초미세먼지에 의한 신장 세포손상 시 EGR-1 및 MAPK 신호기전 조절을 통한 Dapagliflozin(DAPA)의 신장 세포 손상 완화 효과 규명’ 연구를 통해 초미세먼지가 유발하는 신장 손상의 세포 기전을 밝히고, SGLT2 억제제인 DAPA의 보호 효과를 입증했다.


세포 실험 결과, 초미세먼지만 노출된 세포에서는 염증 인자인 EGR-1과 MAPK 경로가 과활성화돼 손상이 지속된 반면, DAPA를 함께 투여한 세포에서는 EGR-1의 활성과 염증 반응이 뚜렷이 감소했다. 이를 통해 DAPA가 초미세먼지로 인한 신장 손상에 대한 치료적 가능성을 지닌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로 DAPA의 환경성 신손상 완화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초미세먼지로 인한 신장 손상의 다양한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 대안 발굴을 위해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지용일 해운대백병원 산부인과 교수 로봇수술팀

지용일 해운대백병원 교수 … 단일공 100례 포함 로봇수술 총 400례 달성


지용일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단일공(Single Port, SP) 로봇수술 100례를 달성하며 개인 로봇수술 누적 400례를 돌파했다. 병원 측은 이번 성과가 환자의 빠른 회복과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내며 해운대백병원의 로봇수술 역량을 입증한 결과라고 밝혔다.


지 교수는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등 다양한 부인과 양성 질환은 물론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 같은 악성 질환까지 로봇수술을 통해 치료하고 있다. 지난 4월 개인 로봇수술 300례를 기록하며 부울경 지역 최다 수술 실적을 세운 데 이어, 이번 400례 달성으로 국내 부인과 로봇수술의 선도적 위치를 굳혔다.


단일공 로봇수술은 복부 한 곳에 작은 절개만으로 수술 기구를 삽입해 3D 고화질 영상으로 최대 10배 이상 확대된 시야를 확보한다. 자유도가 높은 다관절 로봇 팔을 이용해 정교하고 섬세한 수술이 가능하며, 출혈과 통증이 적고 회복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여성 생식기 질환 수술에서 특히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지 교수는 “환자들이 수술 후 불편함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볼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와 기술 발전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정밀한 로봇수술로 여성 건강 증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교수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교수, 대한치매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 ‘레켐비’ 국내 적정 사용량 권고안 제시 

 

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교수가 지난 1일 서울 스위스그랜드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대한치매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치매 치료제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의 국내 적정 사용 권고안을 제시하는 연구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박 교수는 대한치매학회의 레카네맙 적정 사용 권장 사항(Lecanemab: Appropriate Use Recommendations by Korean Dementia Association)을 주제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논문에는 대한치매학회의 이사진 전원이 참여했으며, 신경과 박기형 교수가 1저자(공동 1저자 : 김건하 이화여대 의대 신경과 교수)로 참여했다.

 

논문은 레켐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한치매학회의 적정 사용 권고안(AUR)을 제시해 국내 임상 현장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 논문은 대한치매학회지 2024년 23권 4호에 영문과 국문(supplements)으로 게재됐다.  남윤진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교수

남윤진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 대한정형외과학회 제69차 국제학술대회 학술장려상 … 척추-골발 부정정렬 평가 

 

남윤진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대한정형외과학회 제69차 국제학술대회에서 학술장려상을 수상했다. 

 

남 교수는 국제 저명 학술지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에 게재된 논문 ‘척추-골반 부정정렬 평가를 위한 새로운 간편 방사선학적 지표: 골반 경사각’(A Novel, Easy-to-Measure Radiographic Parameter to Assess Spinopelvic Malalignment: The Pelvic Inclination Angle)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남 교수팀은 척추-골반 불균형 평가를 위해 기존 복잡한 지표 대신 간단히 측정 가능한 새로운 방사선학적 지표 ‘골반 경사각(PIA)’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 PIA는 기존 지표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면서도 개인의 골반 형태(PI)에 영향을 받지 않아 임상 현장에서 보다 직관적이고 표준화된 척추-골반 정렬 평가 방법으로 활용 가능함을 입증했다. 특히 정상군과 환자군 간 비교 분석을 통해 13.6도를 기준으로 임상적 불균형을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향후 수술 전후 평가 및 치료계획 수립에 새로운 객관적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