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전체뉴스
양민재 아주대병원 교수팀, 위암‧담도암‧췌장암 제거후 복잡한 내시경적 장재건 수술 성공률 제고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1-10 08:22:43
기사수정
  • 기존 풍선소장내시경을 ‘단축형’으로 개량, 고난도 ERCP 성공률 기존 60%서 87%로 향상

위암‧담도암‧췌장암 등 복잡한 수술에서 시행되는 ‘Roux-en-Y 간공장문합술(hepaticojejunostomy)은 위와 십이지장을 보존한 채 담관과 공장을 새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소장 경로가 길고 꼬여 있어 일반 내시경으로는 접근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풍선소장내시경(single-balloon enteroscopy)이 시행되지만 이 역시 접근이 까다로워 일본에서도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ERCP)의 성공률이 60%정도에 머물고 있다.

 

이에 ‘단축형; 단일 풍선소장내시경(short-type single-balloon enteroscopy, SBE)을 이용해 ERCP를 수월하게 시행하는 방법이 고안됐다. 양민재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유병무, 황재철, 김순선 소화기내과 교수)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풍선소장내시경 시술 경험을 바탕으로, 소장 내 S자형 루프(S-shaped loop)를 단일 회전 벡터로 전환해 내시경 진입을 안정화하는‘기전적 루프 해소(mechanistic loop-resolution) 전략’을 개발했다. 이 전략은 장 속에서 내시경이 꼬이거나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회전 방향을 조정해 진입 경로를 부드럽게 풀어주는 원리로, 복잡한 해부 구조에서도 안정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양민재 교수팀은 단축형 SBE를 이용한 ERCP 접근은 31건 중 27건(87.1%)에서 성공했으며, 담도 삽관 성공률 96.6%, 치료 성공률 83.9%를 기록했다. 평균 시술 시간은 95.9분이었고, 공장-공장문합부와 간공장문합부 도달 시간은 각각 24.3분과 61.8분이었다. 시술 후 주요 합병증은 3건(9.1%)에 불과해 높은 안전성과 효율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접근 과정을 15편의 시술 영상과 6개의 고해상도 일러스트로 정리해 소장내시경 삽입의 표준화된 방법론으로 제시했다. 이는 기존의 경험적 삽입 기술을 과학적으로 체계화한 연구로, 향후 고난도 담도·췌관 내시경 시술의 국제적 표준 확립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양민재(왼쪽부터), 유병무, 김순선, 황재철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양민재 교수는 “루와이 간공장문합술 환자는 풍선소장내시경의 진입이 가장 어려운 구조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내시경 삽입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표준화했다”며 “이 전략은 향후 국내외 고난도 담도·췌관 내시경 시술의 가이드라인 마련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Mechanistic loop-resolution strategies for short-type single-balloon enteroscopy-assisted ERCP in Roux-en-Y hepaticojejunostomy with a preserved stomach and duodenum’(루와이-형 간공장문합 후 위와 십이지장이 보존된 환자에서 단일 풍선 단장 소장내시경을 이용한 ERCP의 기전적 루프 해소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소화기내시경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Endoscopy’(IF=12.6) 에 최근 게재 승인을 받았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