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글로벌뉴스
UCB제약, ‘카이제비’(외인성 디옥시시티딘 및 디옥시티미딘) ‘티미딘 키나제2 결핍증’ 치료제로 FDA 승인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1-04 11:08:23
기사수정
  • 체내에 들어간 내인성으로 바뀌며 미토콘드리아 복제 회복에 기여 … 종종 12세 이전 조기사망, 발병 후 3년내 사망 초래
  • 그동안 지지적 완화 치료 외에는 승인된 치료 없어 … EU 심사 중 … 액제에 녹이는 경구 분말 제형, 내년 1분기 미국 판매

벨기에 기반 UCB제약의 ‘카이제비’(KYGEVVI, 성분명 독세시틴(doxecitine, 또는 deoxynucleoside deoxycytidine, dC)과 독스리브티민(doxribtimine, deoxynucleoside deoxythymidine, dT)이 ‘티미딘 키나제 2 결핍증(thymidine kinase 2 deficiency, TK2d)’ 앓는 성인 및 어린이를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로 3일(현지시각)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 


용액으로 녹여 먹기 위한 분말 제형(2g/2g)으로 허가됐다. 하루 3번, 6시간±2시간 간격으로 복용한다.  체중에 따라 최저 260 mg/kg/day, 최고 800 mg/kg/day을 복용한다.

 

TK2d는 티미딘 키나제 2의 결핍으로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에 관여하는 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의 고갈과 불균형을 초래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계속 악화되는 진행성이고 심각한 근력 약화(근병증)를 특징으로 하는 극히 드물고 생명을 위협하는 유전적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현재까지 지지적 완화 치료 외에 승인된 치료 옵션이 없다. 종종 치명적이며, 12세 이전에 초기 증상을 경험한 사람들은 조기 사망(종종 증상 발병 후 3년 이내에 사망)의 위험이 높다. 전세계 TK2d 유병률은 인구 100만명 당 1.64명으로 추산된다.

 

카이제비는 피리미딘 뉴클레오시드인 독세시틴과 독스리브티민(외인성 물질)의 복합제로, 체내에 들어가면 세포질(cytosolic)내 thymidine kinase 1 (TK1) 및 deoxycytidine kinase (dCK)에 의해 내인성 피리미딘 뉴클레오시드인 디옥시시티딘(deoxycytidine)과 디옥시티미딘(deoxythymidine)로 바뀐다. 이런 디옥시시티딘과 디옥시티미딘은 골격근 미토콘드리아 DNA에 결합한다. 이러한 작용은 TK2d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사본 수를 회복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약은 2상 임상 1건, 후향적 진료차트 검토 연구 2건, 확장된 접근 사용 프로그램(expanded access use program, 동정적 임상시험)의 안전성 및 유효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승인됐다.

 

TK2d 증상 발병 연령이 12세 이하인 82명 환자를 대상으로 카이제비 또는 피리미딘 뉴클레오사이드(사실상 같은 약)로 치료했다. 효능은 이러한 소아 및 성인 치료 환자의 전체 생존율을 TK2d 증상 발병 연령(2세 이하 또는 2세 초과~12세 이하로 구분)을 사용하여 치료받은 환자(78명)와 동수의 매칭된 치료받지 않은 환자(외부 대조군 78명)과 비교 평가했다. 

 

임상 결과 치료 시작부터 생존 기간이 개선되었고 치료는 치료 시작부터 사망의 전체 위험을 약 86%(95% CI: 61~96%) 감소시켰다. 사망률은 4% 대 36%, 10년의 관찰기간 중 생존기간 9.6년대 5.7년 등으로 카이제비군이 우수했다. 생존 분석에 포함된 78명의 치료 환자 중 TK2d 증상 발병 연령의 중앙값은 1.5세(범위: 0.01~12세)였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4년(1일~12년)이었고 투여받은 중앙값 용량은 762mg/kg/일(범위: 260~800mg/kg/일)이었다. 

 

UCB의 최고 의학책임자인 도나텔로 크로세타(Donatello Crocetta)는 “독세시틴과 독스리브티민의 승인은 그동안 지지적 완화치료 외에 FDA 승인을 받은 치료 옵션이 없었던 희귀 유전성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새로운 옵션이 생기는 중요한 순간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미국 컬럼비아대 어빙 메디컬센터 신경과 교수인 미치오 히라노(Michio Hirano) 박사는 “30년 넘게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연구해 왔으며, TK2d가 환자와 그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직접 목격했다”며 “오랫동안 승인된 치료법을 기다려 왔으며, 이번 승인은 이 심각한 질환을 어떻게 지원하고 관리할 수 있느냐의 관점에서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카이제비의 가장 흔한 이상반응(발병률 5% 이상)은 설사, 복통(상복부 통증 포함), 구토,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증가, 아스파르트산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T) 증가 등이다.

 

카이제비는 현재 유럽의약품청(EMA)에서 승인 심사가 진행 중이다. UCB는 2026년 1분기에 미국에서 시판할 예정이다. UCB는 환자와 간병인의 요구를 최우선으로 하는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입니다.

 

카이제비는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혁신의약품,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 소아희귀질환의약품으로 지정됐다. 또 UCB는 이번 승인에 따라 향후 마케팅 신청을 위한 우선심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희귀 소아질환 우선심사 바우처(RPDPRV)를 FDA로부터 부여받게 됐다. 이 바우처는 유통 가능하며 시가 1억달러 안팎이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