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개인 영양 상태를 확인하는 ‘유기산 검사’ 필요한가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29 15:44:00
기사수정
  • 엽산 결핍 증후로 혈중 농도 감소는 22일, 적혈구의 엽산 감소는 120일, 빈혈 발병엔 140일 소요
  • 유기산 검사는 10일 뒤부터 파악 가능 … 과학적 근거 미비, 인과관계 모호성, 고비용은 따져봐야

최근 기능의학(funtional medicine)의 하나로 소변 유기산검사(organic acid analysis) 비급여로 확산되고 있다.

 

유기선 검사는 소변으로 배출되는 유기물을 통해 인체의 영향 불균형, 특정 효소 또는 조효소(비타민 또는 무기질) 부족에 의한 영양대사 장애 여부, 장내세균 불균형, 신경전달물질 대사, 산화스트레스, 환경독소(환경호르몬)의 영향, 해독작용, 특정 약물의 대사상태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장쇄지방산(LCFA)의 미토콘드리아 내 대사(β산화)에는 카르니틴이 필요한데 만약 카르니틴이 부족하면 LCFA가 미토콘드리아에서 연소되지 않아 adipate, suberate 등의 대사부산물이 증가한다. 이런 경우에는 카르니틴이나 리보플라빈(비타민 B2)의 보충이 필요하다,

 

체내에 비타민 B1, B2, B3, B5가 부족하면 pyrubate, lactate 같은 탄수화물 대사중간산물이 늘어나 축적된다. 

 

장내 곰팡이균이 증가하면 소변에 arabinose, tartarate, citramalic acid가 증가한다.

 

김기덕 대전선병원 검진센터장(가정의학과 전문의)은 “사람마다 영양소의 요구량이 다르며, 동일인이라고 해도 상황에 따라 영양소의 요구량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영양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가령 프로축구 선수와 수험생의 경우 몸에서 이뤄지는 대사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영양소가 다르며, 스트레스나 노화 등에 따라 영양소의 요구량이나 흡수율, 대사율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필요한 영양소의 종류와 양은 시시각각 변하기 마련이다. 

 

어떤 영양소의 농도가 정상이라고 해도 유전적 요인이나,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양소 요구량이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정 영양소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기 보다는 이런 영양소들이 관여하는 대사 과정을 분석하는 게 영양소가 더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  김기덕 대전선병원 검진센터장(가정의학과 전문의)

김 센터장은 “특정 영양소 부족으로 대사가 잘 이뤄지지 않는다면, 대사되지 않고 남아있는 물질들이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이런 물질들을 모아서 분석하는 ‘소변 유기산 검사 ’를 이용하면 개인별로 필요한 영양소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기산 검사는 영양소 결핍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예방적으로 영양소를 보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엽산의 경우 혈중 농도 감소는 엽산이 부족해지고 22일이 지나서 나타나며, 엽산 결핍에 의한 적혈구의 엽산 감소는 120일 정도가 걸리고, 엽산 결핍으로 인해 빈혈이 나타나기까지는 140일 정도가 걸리지만, 유기산 검사에서는 10일 뒤부터 엽산 결핍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기덕 센터장은 “유기산 검사를 통해 탄수화물이나 지방산의 대사.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산화손상, 항산화, 해독 등과 관련된 여러 대사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영양소 보충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유기산 검사의 결과치와 특정 질병과 증상, 영양 상태의 인과관계는 너무 포괄적이고 모호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과도한 해석은 금물이다. 혈중 유기산 수치는 식단, 노화, 독소 노출, 특정 미생물에 의해 영향을 받아 수치가 교란되기 쉽다. 예컨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평가한다면 소변 유기산검사는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고 대변 분석이 훨씬 신빙성 높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혈중 유기산 수치가 특정 영양소의 과소 또는 과도함, 특정 영양대사의 저하를 특이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어 이 검사를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통상 소변 유기산 검사는 23만~25만원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비용 대비 효과성도 따져봐야 할 관점이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