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전체뉴스
이순규 인천성모병원 교수, ‘기억 B세포 기반 간이식 거부 통합치료 및 예방시스템 발굴’ 국책 연구과제 선정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5-10-23 09:46:24
기사수정
  • 신창호 서울대병원 교수,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본상 수상 … 세계 최초로 소아청소년기 고관절 발달 과정 규명
  • 김유찬 아주대병원 피부과 교수, 국제피부과연맹(ILDS) 감사장 및 제1회 해관오긍선학술상 동시 수상
  • 김광준 중앙대병원 교수, 대한산부인과학회 최다 피인용 논문 선정 … 산전 태아 신경관결손 선별검사 실효성 분석

이순규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이순규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보건복지부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성장지원(심화)’ 과제에 선정됐다.


연구 주제는 ‘간이식 거부반응 환자에서 병인 B세포 규명과 상주 조절 기억 B세포 기반 이식거부 통합 치료 및 예방 시스템 발굴’이며, 가톨릭대 산학협력단이 주관한다. 이번 연구는 2025년 9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3년간 진행되며, 총 7억5000만 원이 지원된다.


간이식은 간경변 말기나 조기 간암 환자에게 시행되는 대표적 치료법으로, 환자들은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장기 복용한다. 그러나 이로 인해 만성신장병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면역 항상성 저하나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지속되는 문제가 있다.


이순규 교수팀은 이전 연구에서 이러한 부작용의 원인을 분석하고, 면역 항상성 유지에 조절 T세포와 조절 B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 회복이 핵심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한 바 있다. 또한 간이식 환자를 모사한 아바타 모델을 구축해 향후 정밀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간이식 거부반응 환자의 병인 B세포 및 면역 조절 B세포 아형을 규명하고, 조절 타깃 후보 신호분자를 발굴할 계획이다. 시험관과 생체 모델을 통해 면역조절 인자의 효과를 검증하고, 병인성 B세포를 표적하는 통합적 면역조절 시스템을 개발해 간이식 환자의 예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이식 환자의 병인 B세포와 면역 조절 B세포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면역조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간이식 환자의 치료 효율을 높이고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창호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교수

신창호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교수가 대한정형외과학회 제69차 국제학술대회에서 ‘학술본상’을 수상했다.


‘학술본상’은 대한정형외과학회가 매년 정형외과학 분야에서 탁월한 학술 성과를 거둔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기초연구와 임상연구 부문에서 각각 1인을 선정한다. 임상연구 부문 수상자인 신 교수는 ‘비구 이차골화중심의 정상 발달과 대퇴골두 피복에 대한 영향’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기의 고관절 발달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번 연구는 3차원 CT를 이용해 소아청소년의 골반 뼈를 분석하고, 이차골화중심의 성장 및 대퇴골두 피복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관절 질환의 예후 예측과 수술 시기 결정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연구 성과는 정형외과 분야의 권위 학술지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IF=4.4)’에 게재됐다.


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성장기 고관절의 구조적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불필요한 수술을 줄이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소아정형외과 분야에서 환자 치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유찬 아주대병원 피부과 교수 

김유찬 아주대병원 피부과 교수가 지난 10월 18~19일 열린 제77차 대한피부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국제피부과학회연맹(ILDS)의 ‘인도주의적 피부과 감사장(Humanitarian Dermatology Certificate of Appreciation)’과 국내에서 처음 제정된 ‘제1회 해관오긍선학술상’을 동시에 수상했다고 밝혔다.


ILDS는 전 세계 피부과학 단체를 대표하는 국제 연합기구로, 피부 건강을 세계 보건정책의 주요 의제로 다루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번 감사장은 의료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피부 건강 향상에 헌신한 인도주의적 업적을 기리는 상으로, 매년 국제적 리더십이나 인도주의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낸 피부과 의사에게 수여된다.


김유찬 교수는 2022~2023년 대한피부과학회 회장으로 재임하며 대한요양병원협회·질병관리청과 함께 ‘국민 옴(疥癬) 퇴치 사업’을 전국적으로 추진했다. ‘옴 퇴치 피부건강의 날’ 개최, 교육 플랫폼 구축, 요양병원-피부과 전문의 협력 진료체계 마련 등 예방부터 치료까지 통합 관리 시스템을 확립한 공로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ILDS 인도주의 부문 감사장을 수상했다.


김 교수는 “대한피부과학회와 동료 회원들이 함께한 노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돼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국민 피부 건강 증진과 국제 인도주의적 피부의료 활동에 더욱 헌신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준 중앙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김광준 중앙대병원 산부인과 교수와 성지수 중앙대광명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대한산부인과학회지(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OGS, IF=1.9)에 발표한 논문이 2023~2024년 최다 피인용 논문으로 선정됐다.


해당 논문은 2022년에 발표된 ‘신경관 결손 산전 선별검사: 산모 혈청 알파태아단백에서 초음파 검사까지(Prenatal screening for neural tube defects: from maternal serum alpha-fetoprotein to ultrasonography)’로, 연구팀은 국제 가이드라인과 최신 근거를 토대로 신경관 결손 진단에 사용되는 산모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AFP)의 한계를 지적하고, 정밀 초음파 검사의 임상적 우수성과 효율성을 강조했다.


태아 신경관 결손은 머리에서 척추까지 이어지는 신경관이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대표적 선천성 이상으로, 심장기형 다음으로 흔하며 출생 후 예후가 위중한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부터 산모의 혈청 AFP 농도를 측정해 선별검사를 시행해 왔지만, 최근 초음파 기술이 발전하면서 혈청검사 없이도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졌다.


김 교수는 “신경관 결손증의 선별 및 진단검사에서 이제는 산모 혈청검사나 양수검사가 필수적이지 않다”며 “이번 연구가 태아 신경관 결손 진단에서 초음파 중심의 새로운 진단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대영 일산백병원 정신과 교수

노대영 일산백병원 교수, 환태평양정신의학회 ‘우수포스터상’ … 공황장애 디지털 치료 효과 입증 


노대영 인제대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최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21회 환태평양정신의학회(The 21th Pacific Rim College of Psychiatrist, PRCP 2025)’에서 우수 포스터상(Outstanding Poster Presentation Award)을 수상했다. 이번 포스터 부문에는 전 세계에서 232편의 연구가 제출됐으며, 노 교수가 발표한 연구가 상위 3편(Top 3)에 선정됐다.


수상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 맞춤형 가상현실(VR) 노출치료의 무작위대조군 연구’로, 치료 과정에서 ‘기대위반 요소(expectancy violation)’를 강화할 경우 환자의 치료 효과가 유의미하게 향상된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주목받았다.


‘기대위반(expectancy violation)’은 환자가 예상한 위협이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안전하다’는 새로운 학습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현대 인지행동모델(억제학습)의 핵심 치료기제다.


이번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의 공포 반응과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치료 설계의 중요성을 보여줬으며, 향후 정신의학 분야의 디지털 치료제 개발과 VR 기반 인지행동치료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 교수는 “공황장애 치료에서 기술과 심리학적 접근을 결합한 새로운 방법이 임상적으로 효과를 보인 점이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디지털 치료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