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인슐린 저항성 높아지면 우울증 위험도 최대 15% 증가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01 10:20:54
기사수정
  • 40세 미만 성인, 혈당 정상, 과체중, 근육량 대비 지방량 많은 사람에서 특히 심해

오대종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교수, 전상원·조성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2011~2022년에 이 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최소 2차례 이상 검진을 받은 23만3000여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우울증 위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체 세포가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는 상태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당뇨병을 비롯해 비만, 고혈압 등 다른 질환의 위험도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IR(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을 통해 4개 그룹(가장 높은 그룹, 높은 그룹, 낮은 그룹, 가장 낮은 그룹)으로 나눴으며, 우울증은 우울증 자가진단 척도(CES-D)를 통해 16점 이상인 경우 우울증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HOMA-IR 값이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우울증 발생 위험이 약 15% 증가했다. 특히 40세 미만의 젊은 성인, 혈당이 정상 범위인 사람, 과체중인 사람, 근육량 대비 지방량이 많은 사람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높으면 우울증 위험을 높이는 경향성이 더욱 커졌다. 

오대종 교수는 “인슐린 저항성이 우울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것을 세계 최대 규모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는 정신 건강과 대사 건강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전상원 교수는 “우울증은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할 뿐 아니라 다양한 정신 및 신체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어 고위험군의 조기 선별과 개입이 중요하다”며 “인슐린 저항성 지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우울증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The Lancet Regional Health–Western Pacific’(IF=8.1)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