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치매 환자, 10명 중 4명은 1년 내 ‘치매약’ 복용 중단 … 3개월내 중단도 30% 육박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9-23 10:00:36
기사수정
  • 이영건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 전국 치매환자 50만명 분석 … 전문진료 여부, 지역 격차가 복약 지속에 영향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10명 중 4명 이상 치료를 시작한 1년 내 치료약 복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영건 인제대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 50만8958명의 건강보험 진료 기록을 분석한 결과, 환자의 약 44%가 1년 이내 복용을 중단했고, 30%는 90일 이내에 약을 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실태조사다.

 

치매 치료제는 주로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등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와 메만틴 계열의 NMDA 수용체 차단제로, 인지기능 저하를 늦추는 데 목적이 있다. 복약 지속 여부는 환자의 증상 악화 속도와 직결된다.

 

복약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여성 △65~74세 연령대 △의료급여 여부 △진료과 등이 지목됐다. 특히 비 전문의에 진료받는 환자는 신경과 및 정신과 전문 진료 환자보다 복약 중단 위험이 1.6배 높았고, 1·2차 병원 진료 환자는 상급종합병원 진료 환자보다 2배 이상 중단 위험이 증가했다.

 

지역 격차도 뚜렷했다. 지방에서 같은 전문 진료를 받은 환자의 복약 중단 위험은 서울에서 전문 진료를 받은 환자 대비, 최대 75%까지 높았다. 복약 중단 정도는 환자 당 병원의 숫자와는 관련이 없었으나, 환자 당 전문의 숫자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병원 규모보다는 전문의 분포가 복약 지속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영건 인제대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

이영건 교수는 “치매 치료는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꾸준한 복약이 매우 중요하다”며 “초기 3개월간 전문의 진료와 보호자의 관심이 복약 순응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복약을 중단할 경우 인지기능 저하가 가속화될 수 있다”며 “의료진과 보호자 간의 긴밀한 소통과 지속적인 복약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JKMS, IF=3.0) 최근호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