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글로벌뉴스
獨 바이오엔텍, 中 듀얼리티 공동 개발 ADC ‘트라스트주맙 파미르테칸’ HER2 양성 유방암 3상 성공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9-06 08:35:36
기사수정
  • 1차 평가지표 무진행생존기간 충족, 캐싸일라 대비 비열등성 입증 … 中서 허가신청 계획

독일 바이오기업 바이오엔텍(BioNTech)와 중국 장쑤성 쑤저우 소재 듀얼리티바이오로직스(Duality Biologics‧映恩生物)이 공동 개발 중인 차세대 HER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이 3상 임상시험에 성공했다.

 

양사는 공동 개발 중인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trastuzumab pamirtecan, BNT323/DB-1303)은 듀얼리티가 중국에서 진행 중인 중추적 3상에서 1차 평가지표인 무진행생존기간을 충족했다고 5일(미국 현지시각) 발표했다. 

이 임상은 이전에 트라스투주맙과 탁산 기반 화학요법을 받은 HER2 양성 절제 불가능한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과 트라스투주맙 엠탄신(제품명 로슈 ‘캐싸일라’, T-DM1)을 비교 평가했다.

 

중간 분석 결과는 독립적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IDMC)가 듀얼리티바이오와 공유했고 맹검 독립 중앙 검토(BICR)를 통해 평가됐다. 캐싸일라 대비 비열등성을 입증했다. 

 

듀얼리티바이오는 이를 바탕으로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산하 의약품평가센터(CDE)와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의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LA) 제출을 위한 다음 단계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2023년 4월에 바이오엔텍이 듀얼리티바이오의 DB-1303를 공동 개발키로 한 전략적 제휴를 맺은 데 따른 성과다.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은 듀얼리티바이오의 독자적인 DITAC(Duality Immune Toxin Antibody Conjugates)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파미르테칸은 HER2 표적 3세대 토포이소머라아제-1 저해제의 일종이다. 

 

전임상 데이터 및 예비 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은 HER2 발현 수준에 관계없이 고형암의 세포 표면 단백질인 HER2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고 관리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과 확장된 치료 범위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은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1/2상 임상과 호르몬 수용체(HR) 양성, HER2 저발현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중추적 글로벌 3상 ‘DYNASTY-Breast02’ 임상시험에서 추가로 평가되고 있다.

 

양사는 작년 1월에 HER2 발현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1/2상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 데이터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자, 이후 3상 DYNASTY-Breast02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바이오엔텍은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의 글로벌 상업적 권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듀얼리티바이오는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에서 상업적 권리를 보유한다.

 

바이오엔텍의 공동설립자 겸 최고의학책임자 외즐렘 튀레치(Özlem Türeci)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듀얼리티바이오와의 유익한 협력 관계에서 중요한 이정표”라며 “우리는 트라스투주맙 파미르테칸이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ADC 후보물질로서 병용요법을 포함한 글로벌 종양학 전략의 핵심 자산이 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우리의 후기 단계 종양학 프로그램 중 최초로 중추적 3상 시험에서 1차 평가지표를 충족한 사례”라며 “차별화된 프로파일을 가진 새로운 암 치료제를 제공하겠다는 우리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듀얼리티바이오의 글로벌의료책임자 화 무 박사는 “이번 긍정적인 3상 데이터는 BNT323/DB-1303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바이오엔텍과 협력해 적응증을 추가할 새 종양 유형에 대해 개발하고 미국, 유럽연합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BLA 신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