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글로벌뉴스
노보노디스크 ‘위고비’, 심혈관질환 동반 환자에선 릴리 ‘마운자로’보다 효과적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9-02 07:30:50
기사수정
  • 세마글루타이드, 리얼월드 연구에서 티어제파타이드 대비 심근경색, 뇌졸중, 사망 위험 57% 감소
  • 치료 공백과 무관한 모든 환자군에선 29% 감소 … 세마글루타이드 특유의 심장보호 효과 입증

노보노디스크의 GLP-1 작용제인 ‘위고비’(Wegovy, 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 Semaglutide)가 심혈관계질환(CVD) 감소 효과에서는 릴리의 포도당 의존형 인슐린 친화성 폴리펩타이드(GIP)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이중 작용제인 ‘마운자로’(Mounjaro 성분명 티어제파타이드, Tirzepatide)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GLP-1 작용제 비만약인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오른쪽)와 GIP 및 GLP-1 이중 작용제인 릴리의 ‘마운자로’ 

노보노디스크는 확증된 심혈관계질환이 있고 당뇨병 병력이 없는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 수집된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STEER’ 리얼월드 데이터를 최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 연례 학술대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발표했다. 

 

STEER 임상 연구는 주요심혈관계 사건(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MACE: 심근경색, 뇌졸중 발생 위험, 심혈관질환 사망,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의 발생 위험 감소와 관련해 세마글루타이드 2.4mg와 티어제파타이드를 비교 평가했다.

 

세마글루타이드 2.4mg은 30일 이상의 치료 공백이 없는 심혈관계질환을 동반한 과체중 및 비만 환자에서 MACE 발생 위험을 57%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세마글루타이드 2.4mg군에서는 15건(0.1%)의 MACE가 관찰된 반면 티어제파타이드군에서는 39건(0.4%)이 보고됐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세마글루타이드 2.4 mg군 3.8개월, 티어제파타이드군 4.3개월이었다.

 

또 치료 공백과 무관한 모든 환자군에서 세마글루타이드 2.4 mg은 티어제파타이드 대비 MACE 위험을 29%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세마글루타이드 2.4mg군 8.3개월, 티어제파타이드군 8.6개월이었다.

 

치료 중단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치료 대상자 가운데 위고비 투여군은 MACE 위험이 티어제파타이드 투여군보다 더 적게 발생했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노보노디스크는 위고비에서 관찰된 심장보호 효과가 세마글루타이드 특유의 분자 형태에 따른 것이라고 추정헀다. 이러한 효과는 다른 GLP-1 또는 GIP/GLP-1 기반 치료제에서도 일반화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노보노디스크의 제품 및 포트폴리오 전략 부문 루도빅 헬프고트(Ludovic Helfgott) 수석 부사장은 ”세마글루타이드 2.4 mg는 대표 임상 연구인 SELECT를 통해 위약 대비 MACE 위험을 20%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며 ”이어진 리얼월드 연구인 SCORE와 STEER에서는 더 큰 위험 감소효과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STEER 연구는 티어제파타이드 대비 심근경색, 뇌졸중 및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57% 낮추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세마글루타이드 2.4mg이 당뇨병 병력이 없는 비만 및 심혈관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 감소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검증된 유일한 GLP-1 기반 치료제임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체중감랑 효과 면에서 릴리의 마운자로/젭바운드에서 밀리는 상황에서 이번 리얼월드 연구는 노보노디스크가 만회할 기회를 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위고비는 지난달 15일 미국에서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 확보했다. 올해 4분기에는 위고비 경구용 제형의 FDA 승인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한편 위고비 2.4mg 주사제는 갑상선암을 비롯한 종양 발생 가능성에 유의토록 하는 내용의 돌출주의문(Boxed Warning)이 기재돼 있다. 이에 따라 갑상선 수질종양(MTC) 또는 다발성 내분비선 신생물 2형(MEN 2) 가족 병력이 있을 경우 위고비 사용을 삼가야 한다. 

 

위고비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은 구역, 설사, 구토, 변비, 복통, 두통, 피로, 배탈, 현훈, 팽만감, 트림, 2형 당뇨병 환자의 낮은 혈당 수치, 가스, 급성 위장염, 속쓰림, 콧물, 인후통 등이다. 

 

이같은 경고 문구와 부작용은 릴리의 마운자로/젭바운드에서도 대동소이하게 적용된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