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의료급여 환자, 복부대동맥류 스텐트 시술 시 장기사망 위험↑… 취약계층 추적관리 필요성 제기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8-27 08:30:48
기사수정
  • 오세진 보라매병원 교수팀 2002~2019년 환자 1만5000명 분석 결과, 의료급여 환자 예후 더 불리
  • 개복수술에선 큰 유불리 없어 … 전세계적으로 취약 계층은 개복수술 시행 많아, 한국은 스텐트 시술 비중 높아

오세진 서울시 보라매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 장원모 공공의학과 교수, 최홍재 심장혈관흉부외과 박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년부터 2019년까지 복부대동맥류 환자 1만5065명의 수술 예후를 분석한 결과 스텐트 삽입술의 경우, 의료급여 환자의 복부대동맥류 관련 사망률이 건강보험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다변량 분석에서 사망 위험이 약 1.87배로 더 높게 나타났다(P<0.001)고 27일 밝혔다. </p>

 

복부대동맥류는 복부 대동맥 벽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돼 파열 위험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개복 수술(OAR)이나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EVAR)로 치료한다. 파열 시 사망률이 매우 높아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환자의 예후는 건강상태, 동반질환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 접근성 등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도 크게 받는다. 해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환자의 수술 후 사망 위험이 약 46% 더 높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번 연구는 국내 대규모 자료로 이러한 격차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복부대동맥류 수술 환자 1만5065명을 대상으로, 개복술 환자 2753명과 스텐트 삽입술 환자 1만2312명을 비교했다. 보험 유형별로는 건강보험 1만4065명, 의료급여 1000명으로 집계됐고, 스텐트 삽입술 환자 비율은 건강보험 81.3%, 의료급여 87.8%였다

 

주요 결과에서 스텐트 삽입술 환자군은 보험 유형에 따라 예후 차이가 뚜렷했다. 의료급여 환자의 복부대동맥류 관련 사망률이 건강보험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다변량 분석에서 의료급여 환자의 사망 위험이 약 1.87배로 나타났다(P<0.001). 반면 개복술 환자군에서는 보험 유형에 따른 복부대동맥류 관련 사망률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P=0.727)</p>

 

이번 연구는 기존의 서구 중심, 고령의 Medicare 가입자, 단일 수술법 위주의 단기 분석과 달리 국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복수술(OAR)과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EVAR)을 모두 아우른 장기 추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한국에서 해당 수술을 받은 전체 환자군을 포함해, 실제 임상현장을 더 정밀하게 반영했다.

 

전 세계적으로 취약 계층의 복부대동맥류 환자들은 중증도 높은 환자 특성과 높은 수술 비용 때문에 주로 개복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은 전국민 의료보험 제도가 적용되면서 의료급여 환자에서도 오히려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이 더 많이 시행되는 독특한 양상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단순히 수술 방법의 차이나 안정성보다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부대동맥류 환자의 수술 예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취약 계층 환자에 대한 수술 후 추적 관리와 치료 전략을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사회경제적 격차가 실제 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점에서 향후 형평성을 기반으로 한 보건의료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지 오세진 서울시 보라매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왼쪽부터), 장원모 공공의학과 교수, 최홍재 심장혈관흉부외과 박사오세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히 보험 유형의 차이를 넘어서, 복부대동맥류 환자의 예후에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의료 취약 계층 환자의 복부대동맥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해 수술 후 관리와 제도적 보완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 공식 학술지인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IF=3.0) 온라인판에 이달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