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이 자체 개발한 의약품들의 고른 성장세에 올해 상반기 국내 원외처방 실적 1위를 달성했다. 하반기까지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경우, 8년 연속 원외처방 1위 달성도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약품은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유비스트(UBIST) 기준으로, 아모잘탄패밀리, 에소메졸패밀리 등 자체 개발 의약품의 성장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원외처방 실적 5353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증가한 수치로, 개별 제품 기준으로는 총 10개의 제품이 상반기 매출 100억원을 넘기며 국내 처방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한미약품은 2018년 처음으로 연간 처방실적 1위에 오른 이후 작년까지 7년 연속 선두를 지켜왔으며, 올해 상반기 호실적에 따라 8년 연속 1위 달성도 유력하게 보고 있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는 “이번 성과는 다국적 제약사의 제품을 단순 유통한 ‘상품 매출’이 아닌, 한미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제품 매출’로 이룬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자사 제품으로 거둔 수익은 R&D에 재투자함으로써, 한미만의 ‘지속가능한 R&D 선순환 모델’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반기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한 제품은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1103억원의 원외처방 매출을 달성했다. 로수젯은 지난해 국내 개발 의약품 중 최초로 연간 처방액 2000억원을 돌파한 바 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1000억원을 넘어서며 시장 지배력을 입증했다.
이어 고혈압 치료 복합제 ‘아모잘탄’패밀리(아모잘탄, 아모잘탄플러스, 아모잘탄큐, 아모잘탄엑스큐)가 721억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에소메졸’ 패밀리(에소메졸캡슐, 에소메졸디알, 에소메졸플러스)가 317억원의 처방실적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이밖에 △‘한미탐스’ 패밀리(탐술로신 성분, 캡슐 및 오디정, 전립선비대증) 224억원 △팔팔(실데나필, 발기부전) 190억원 △아모디핀(암로디핀, 고혈압) 123억원 △낙소졸(나프록센 및 에소메프라졸, 소염진통제) 123억원 △구구(타달라필, 발기부전) 113억원 △피도글(클로피도그렐, 항혈전제) 101억원 등이 상위권에 오르며 한미약품은 다양한 질환군에서 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박명희 한미약품 국내사업본부 전무는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현장 중심 마케팅 전략을 바탕으로 한미는 다양한 질환군에서 의료진과 환자에게 신뢰받는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차별화된 복합신약을 통해 국민 건강에 기여하고 제약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의 소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약품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을 중심으로 한 복합제 전략을 강화하는 가운데 순환기, 비뇨기, 골대사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의 브랜드 파워도 지속 확장해 나가고 있다.
대웅제약 ‘나보타주’ 쿠웨이트 수출 계약 체결 … UAE・튀르키예・사우디·카타르에 중동 5번째 진출
대웅제약은 고순도·고품질 보툴리눔톡신 ‘나보타주’의 쿠웨이트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튀르키예・사우디·카타르 등에 이어 5번째 중동 신출이다.
쿠웨이트는 1인당 국민 소득이 높고(약 3만2000달러)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다른 걸프만 연안국과 교류가 활발해 시너지가 기대되는 등 전략적 가치가 크다. 대웅제약은 쿠웨이트를 교두보 삼아 걸프만 연안국 전체로 나보타 진출을 확대한다.
대웅제약은 현재 국내 톡신 브랜드 중 가장 많은 중동 국가에 보툴리눔톡신 제제를 진출시키며 중동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단순한 제품 공급에 그치지 않고 중동 의료진의 시술 역량을 성장시키고 결과적으로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시술 만족도와 서비스 품질을 높여 제약사는 물론 의료진과 환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윈-윈-윈(WIN-WIN-WIN)’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대웅제약만의 독자적인 복합시술부터 ‘나보리프트’(피부주름 개선, 얼굴 리프팅, 콜라겐 생성, 탄력 향상 시술)까지 다양한 주제로 학회, 웨비나, 트레이닝 프로그램 등 지속적인 학술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현지 의료진과의 임상 연구 협력을 통해 나보타의 우수한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