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울증 있으면 관상동맥중재술 후 급성 뇌졸중 위험 27% 상승
- 심혈관질환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한다.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에는 비교적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경피적 관상동맥중재...
- 2024-11-07
-
- EGFR 변이 폐암에 대한 표적항암제 내성, NRF2 발현과 연관
- 이승현 경희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정준양 해부학교실 교수팀은 항암제 내성을 가진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NRF2의 발현 정도가 중대한 영향을 ...
- 2024-11-07
-
- 만성신부전 환자 동정맥루 개존율 저하 요인 … 고령, 여성, 당뇨병, 인조혈관
- 모혜진 서울시 보라매병 외과 교수는 김향경 이대목동병원 외과 교수, 권수경 서울의료원 외과 과장, 김대환 나은길외과 대표원장, 양승부 노원을지대병원 영...
- 2024-11-06
-
- 사산 위험 ‘쌍둥이 수혈증후군’ … 조기 진단과 내시경 수술로 극복
- 일란성 쌍둥이를 자연 임신한 30대 A씨는 임신 15주 차에 갑자기 늘어난 양수로 배가 팽창 돼 불편함을 느꼈다. 병원을 찾은 A씨는 쌍둥이 수혈증후군 진단을 받...
- 2024-11-06
-
- 자궁내막암 분화도 높아도 저위험군은 림프절 절제술 불필요
- 김기동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혈액 및 영상검사에서 저위험으로 분류되는 자궁내막암 환자의 경우 분화도가 Grade3으로 높더라도 림프절 절제술...
- 2024-11-06
-
- 간암 면역항암제(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효과, 조기예측 면역세포 바이오마커 발굴
- 비침습적인 혈액검사를 통한 면역세포 분석만으로 난치성 질환인 간세포암 환자들의 면역항암제(아테졸리주맙) 치료 효과를 조기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면...
- 2024-11-05
-
- 조현병 여성, 유방암 발병 위험 1.26배 높다 … 40~64세 중년에서 현저
- 정선재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제1저자, 양지수 박사)과 조철현 고려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팀은 국내 90만명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
- 2024-11-05
-
- 경희대병원-지아이바이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마커 발굴
- 이창균 경희대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소화기내과 교수팀이 한국인 장 마이크로바이옴 특성과 진단적 역할을 연구한 성과를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r...
- 2024-11-05
-
- 만성 C형간염 완치 후 중증 합병증 발생 고위험군 선별 AI 개발
- 만성 C형 간염 완치 이후 간세포암종 등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큰 고위험군 환자를 미리 알아내는 인공지능(AI)가 나왔다. 김승업·이해원 연세대 세...
- 2024-11-05
-
- 서울아산병원, 수술 어려운 ‘하부 뇌신경초종’ 감마나이프 수술 60례 효과 입증
- 감마나이프 수술은 두개골을 절개하지 않고 고에너지의 감마선을 이용해 뇌종양이나 뇌혈관 기형을 치료하는 방식으로, 흔히 ‘무혈 수술법’으로 불...
- 2024-11-04
-
- 체외 배출되는 금속 나노 전구약물 ‘세륨-DTPA’ 복합체 개발 … 패혈증 치료제 임상 진입 가능성 입증
- 김치경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패혈증으로 인한 전신 염증 및 장기 손상을 완화하는 동시에 체외 배출되는 금속 전구약물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했...
- 2024-10-31
-
- 자폐스펙트럼장애, 동반 정신질환 종류에 따라 자해 가능성 달라
-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 환자가 갖는 다른 정신질환에 따라 자해 및 자살경향성의 가능성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천근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
- 2024-10-30
-
- 한양대병원, 위암 수술 후 5년 지나도 장기 추적 관찰해야 장기 생존율 높아
- 위암 수술 후 장기 생존자가 증가함에 따라 일부 환자들은 수술 후 5년이 지나면 정기 검진을 소홀히 하거나 비정기적으로 내시경과 복부 CT를 받는 경향이 있...
- 2024-10-30
-
- ‘DOR(수술실 직행 외상 소생술)’ 중증외상 생존율 높인다
- ‘수술실 직행 외상 소생술’(Direct to Operation Room resuscitation, DOR)이 중증 외상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문헌고찰 연구가 발표됐다. 서동민·정호형 ...
- 2024-10-30
-
- 근육량 증가 시 치매 위험 감소, 지방량 증가는 위험 증가
- 한국인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근육량의 증가가 치매 위험을 줄이고, 반대로 지방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민 서울대병원 ...
- 2024-10-30
-
- 허혈성 손상 줄이는 혈소판 유래 생체재료 개발, 난소 이식 성공률 높인다
-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이강원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 김지향 분당차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제1저자, 정나눔 서울대 의대 중개의학 ...
- 2024-10-30
-
- 삼성서울병원·연세대, 자가 구동 상처치료 전자약 개발
- 흉터를 최소화하면서도 상처를 더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는 자가구동 전기밴드가 개발됐다.최병옥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이종희 피부과 교수팀과 김상우 연...
- 2024-10-30
-
- 간암 수술 전 간 경직도 높으면 재발·합병증 발생 위험 증가
- 수술 전 간의 경직도가 높은 간세포암 환자들은 암 재발 위험이 약 2.14배,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위험이 약 8.32배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정환 인하...
- 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