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궁경부암 줄었지만 자궁경부이형성증은 10년간 2배 늘었다
- 최근 자궁경부암은 국가검진과 백신접종의 활성화로 환자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자궁경부암 전 단계인 자궁경부이형성증은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 2024-11-26
-
- 태반주사, ‘아토피피부염’ 치료에도 효과적 … 산화스트레스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
- 사람의 태반 추출물(Human Placenta Hydrolysate, HPH)이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범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팀(이정옥 ...
- 2024-11-26
-
- 폐세척 액상생검으로 비소세포폐암 EGFR 유전자변이 진단, 높은 정확도로 조직검사 보완 가능
- 이계영 건국대병원 정밀의학폐암센터장(호흡기내과 교수)이 폐세척 액상생검(액체생검)을 이용한 혁신적 2상 임상연구 중간결과를 최근 ‘대한결핵 및 호...
- 2024-11-25
-
- 급성심장정지 환자 이송 중 목표체온치료 효과 있어
- 급성심장정지 회복 후 2차적 뇌손상을 예방하는 ‘목표체온치료’가 이송 중인 환자에게도 실행 가능하고 안전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치료법을 이...
- 2024-11-25
-
- 복잡한 뇌혈관, 3D로 눈앞에서 직접 보며 수술한다
- 환자의 복잡한 뇌혈관을 3D로 구현해 눈앞에서 직접 보면서 수술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의료진이 개발했다. 윤원기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외과 교수, 고재철 ...
- 2024-11-22
-
- 눈 통한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및 스마트폰 기반 분석 기술 개발
- 눈에 삽입해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형광 센서와 스마트폰 기반의 모니터링 기술이 개발됐다. 지용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 함...
- 2024-11-22
-
- 다관절 복강경 기구, 대장수술 성과 향상 … 수술시간 단축, 출혈량은 절반
- 오흥권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교신저자), 신혜림 교수(제1저자) 연구팀이 복강경 대장수술에서 ‘다관절 복강경 기구’가 기존의 고정형 수술 기구...
- 2024-11-22
-
- 자라지 않는다던 순수 간유리 폐결절, 10년 뒤 자랄 수도
- 10년 동안 크기 변화가 없던 폐의 순수 간유리 결절이 뒤늦게 자랄 수 있다는 보고가 국내에서 처음 나왔다. 엄상원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남현...
- 2024-11-21
-
- 서울대병원, 교정절골술 후 무릎 퇴행성 관절염 위험 요인 규명
-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단측 교정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무릎 관절의 정렬 상태를 평가하는 ‘관절선 수렴각’( joint-line con...
- 2024-11-21
-
- 수술 전 근육량 및 전신 영양상태가 전이성 척추종양 수술 결과에 영향
- 일반적으로 수술 전 영양상태가 좋은 환자는 수술 후 회복도 빠르고 합병증 발생도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이성 척추암 환자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
- 2024-11-21
-
- HR양성 중 HER2 저발현 그룹이 HER2 음성보다 유방암 재발 가능성 높아
- 유방암은 환자가 지닌 인자 유무에 따라 여러 아형(subtype)으로 분류된다. 전통적으로 호르몬수용체(HR) 유무에 따라 양성과 음성으로 대분류한 후, HER2 단백질 ...
- 2024-11-21
-
- 서울아산병원, 3D완전내시경 대동맥판막·승모판막 동시 치환술 국내 첫 성공
- 유재석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팀이 승모판막 및 대동맥판막 기능부전을 동시에 치료하는 3D완전내시경 대동맥·승모판막 동시 치환술을 최...
- 2024-11-21
-
- 뇌전증 유전자치료 임상시험 미국서 스타트 … 한국 환자도 임상 참여 가능
- 미국 존스홉킨스병원 뇌전증센터가 세계 최초로 뇌전증 유전자 치료 임상 시험을 시작했다. 오른쪽 측두엽 뇌전증 환자가 등록 대상이다. 20일 홍승봉 삼성...
- 2024-11-20
-
- 서울대병원, 확장성 심근병증 유발 병리 기전 세계 최초 규명
-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라트로필린-2(Latrophilin-2, Lphn2) 결손이 ‘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P)을 유발하는 새로운 병리 기전임을 최초로 규명...
- 2024-11-20
-
- 국립암센터, 젊은 유방암 환자 HER2 단백질 활성화 수준으로 예후 예측 입증
- 박종배 국립암센터 암단백유전체연구사업단장, 정소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의생명과학과 교수, 윤경아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팀은 ‘단백유전체학 분석...
- 2024-11-20
-
- 난치성 염증성 장질환 치료 신약후보, 경구 투여용 ‘산화철-세리아 나노타블렛’ 복합체 개발
- 김치경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교수,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장, 소민 현텍엔바이오 최고과학기술자(CTO) 공동 연구팀은 난치성 염증성 ...
- 2024-11-19
-
- 가톨릭중앙의료원, 줄기세포 기능 강화 및 뼈 재생 가능한 나노입자 개발
-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장 구희범 교수(교신저자, 의생명과학교실), 박지선 박사(공동 제1저자), 전하영 연구...
- 2024-11-18
-
- 서울대병원, ‘신생 난치성 뇌전증 지속발작’(NORSE) 최적 면역치료법 제시
- 건강하던 사람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의식불명과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 ‘신생 난치성 뇌전증 지속발작’(NORSE; New-onset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에 ...
-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