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 중풍’ 중심망막동맥폐쇄, 고압산소치료로 시력 회복 가능
- ‘눈 중풍’이라 불리는 중심망막동맥폐쇄는 망막의 중심동맥이 막히며 급격한 시력 저하를 초래해 심하면 실명에 이르게 하는 질환이다. 발병률은 10...
- 2024-12-03
-
- ‘앙카 연관 혈관염’ 질병 활성도·사망 예측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신데칸-1’ 발굴
- 하장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윤태준 연세대 의대 박사, 이상원 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팀은 혈청 신데칸-1(Syndecan-1) 검사를 ...
- 2024-12-03
-
- 서울아산병원, 35년간 이른둥이와 중증 신생아 2만명 치료
- 288g과 302g으로 태어난 건우와 사랑이, 전 세계 단 6명만 진단된 선천성 소화기질환 신생아, 1030g으로 태어났지만 생후 5개월에 3.4kg까지 자라 국내 최소 체중 간...
- 2024-12-03
-
- 복부 CT만으로 요추척추관협착증 진단하는 AI 프로그램 개발
- 이준우·이영준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팀은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활용해 요추 척추관협착증을 진단하는 AI 프로그램을 개...
- 2024-12-02
-
- CCL2 발현 ‘섬유아세포’× STAT3 활성화 ‘대식세포’ 상호작용이 위암 진행
-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인공지능뇌과학사업단장 김태민 교수(교신저자, 의료정보학교실), 이성학 교수(제1저자, 서울성모병원 병리...
- 2024-12-02
-
- 오메가3-나노에멀젼 젤, 유방보형물 수술 합병증 ‘구형구축’ 예방 효과 발휘
- 약물전달체로 쓰이는 오메가3-나노에멀젼 젤이 유방보형물 수술 합병증인 ‘구형구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형구축(球型拘縮...
- 2024-12-02
-
- 자궁내막암 호르몬 치료 후 재발 고위험인자는 ‘35세 이상’, ‘임신하지 않는 경우’
- 심승혁 건국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장은비 전임의 연구팀이 호르몬 치료로 초기 자궁내막암이 완전관해된 환자 중에서 재발위험이 높은 위험인자로 ‘35세...
- 2024-12-02
-
- 간세포에서 세포사멸 조절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MIST1 유전자) 규명
- 남기택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와 허수민 박사 연구팀은 만성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소포체 스트레스 상황에서 간세포의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새...
- 2024-12-02
-
- 35세 미만 젊은 성인 지방간 환자, 근육량 증가하면 지방간 1.78배 호전
- 35세 미만 젊은 성인에서 사지 근육량의 증가가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의 중증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이상지방간질환(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
- 2024-12-02
-
- 알레르기비염 치료용 하비갑개 수술의 장기 효과와 안전성 입증
- 알레르기비염 환자에게 시행되는 하비갑개 수술이 중대한 합병증 없이 수술 후 1년 이상 효과가 유지되며, 코막힘과 콧물 등 주요 증상은 3년이 지나도 개선된...
- 2024-11-29
-
- 서울대병원,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에 초고가 CAR-T 치료제 무상 공급
- 서울대병원이 수억원대의 값비싼 희귀질환 치료제 원료를 직접 생산해 소아청소년 희귀질환 환자에게 무료로 치료할 기회를 넓혀나가겠다고 29일 밝혔다. 특...
- 2024-11-29
-
- 태블릿PC 인지치료, 발달지연 아동 시지각 운동 기능 호전
-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한 태블릿PC 인지치료가 미디어 중독 없이 시지각운동 기능을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지현 이대목동병원 재활의학과 ...
- 2024-11-28
-
- 전이‧재발성 위암 면역관문억제제(PD-1 억제제) 효과 감소 예측 바이오마커 ‘데코린’ 발굴
- 최윤영‧윤진아·조인 순천향대 부천병원 위암클리닉 교수팀이 최근 전이‧재발성 위암 1차 치료 시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로 유전자 &l...
- 2024-11-28
-
- 초음파영상 3차원 ‘혼합현실’에 띄워 생생하게 진단 … 환자와 공유
- 초음파영상을 혼합현실 속에 3차원으로 구현해 환부 근처에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이 최근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박성준 고려대 안산병원 영상...
- 2024-11-27
-
- 환자 일상데이터 부족 희귀혈액암, ‘라이프로그 데이터’ 활용 新 치료법 모색
- 혈액암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최신 치료제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프로그(life log) 데이터’ 기반 맞춤 연구가 진료현장에 도입되었다. 당뇨병, 고혈압 ...
- 2024-11-27
-
- 김찬, 전홍재 분당차병원 암센터 교수팀, 경구용 레오바이러스로 대장암 면역항암 치료 효과 확인
- 김찬, 전홍재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암센터 교수와 이원석 연구교수팀은 경구용 항암 레오바이러스를 이용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재구성하고 항암 면역 ...
- 2024-11-26
-
- 분당서울대병원, 모야모야병 한쪽 뇌 수술 후 반대편 뇌의 악화 위험성 및 예측요인 규명
- 방재승, 이시운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양측 모야모야병 환자 중 한쪽 뇌만 뇌혈관수술을 받은 후, 반대쪽 뇌의 병이 악화될 가능성과 이를 예측...
- 2024-11-26
-
- 40세 미만 2형 당뇨병 환자, 소득 낮으면 사망위험 3배 높아져
- 김신곤·김남훈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와 김지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팀이 젊은 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소득이 낮으면 사망위험...
-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