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엽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과기부 ‘우수신진연구’ 선정
-
‘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CAB)가 PPI보다 헬리코박터 제균 효과 높아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보존적 치료보다 인공슬관절 수술 가능성 22% 낮아
-
외상성 뇌손상 경험한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1.9배 높아져
-
이홍섭 부산백병원 교수, 혈액으로 크론병·궤양성대장염 분별법 개발
-
서울성모병원, 다학제 연구로 희귀 심장 아밀로이드증 진단 성공
-
서울대병원, 신속거치 혁신 대동맥판막치환술 400례 달성 … 정밀·효율·신속, 합병증 적고 혈역학 우수
-
자궁내막암, ‘최소침습수술’ vs ‘개복수술’ … 생존율 차이는 없어
-
테니스엘보 ‘팔꿈치 불안정성’ 치료, 재건술이 봉합술보다 효과적
-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놔두면 심혈관질환 위험도 57% 증가
-
직장 내 괴롭힘, 근로자 자살위험 최대 4배 증가시켜
-
경동맥협착증 스텐트 삽입 후 이중항혈소판제 사용 반년 미만으로 충분
-
허혈성 심혈관질환, 평활근세포 직접리프로그래밍법으로 신생혈관 생성 확인
-
혈관성 치매, Netrin-1 단백분자 유효성 입증으로 새 치료전략 마련
-
보라매병원, 미국·일본서 진단 못한 부갑상선종양 … 수술까지 단번에 해결
-
안구 ‘군날개(익상편)’ 모양으로 안구건조증 위험성 예측 가능
-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장, 아시아 인종 ‘면역 다양성’ 지도 완성
-
한국인 췌장암 중 93.7% 차지하는 췌관선암 … 5년 생존율 8.5%로 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