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40대 후반 한국여성, 유방암 발병률 상승 이유 … 저체중, 폐경 초기에 여성호르몬과 유방조직 밀도 일시 상승한 탓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1-19 11:44:32
기사수정
  • 강북삼성병원 및 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 마른 체형 폐경기 여성 위한 예방전략 수립에 근거

한국 여성에서 폐경 이행기 동안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호르몬 변화와 유방 밀도가 일시적으로 변화하며 이로 인해 유방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젊은 연령인 40대 후반에 유방암 발생이 정점을 보인다. 유방암은 여성호르몬에 영향을 받고, 유방밀도가 높을수록 유방암이 생길 가능성이 상승한다. 

 

이에 류승호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데이터센터, 장유수 코호트연구센터 교수, 장윤영 박사, 조유선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폐경 이행기 여성 4737명을 평균 7년간 추적 관찰해 폐경 이행기 동안의 여성호르몬 변화와 유방 밀도 변화를 확인했다.

 

폐경 단계는 국제 표준 STRAW+10 기준에 따라 4단계로 분류했다. 유방 밀도는 유방 촬영 영상을 자동분석 프로그램으로 정량화했다. 체질량지수는 저체중(<18.5), 정상체중(18.5~22.9), 과체중(23~24.9), 비만(≥25) 등 4개 그룹으로 구분해 비교했다.</p>

 

그 결과, 저체중 여성에서는 폐경 이행기 초기에 여성호르몬과 유방조직 밀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 반면 비만 여성은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고 유방 밀도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이러한 변화는 폐경 이행기 초기에 저체중 여성에서 유방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데이터센터 류승호 교수·코호트연구소 장유수 교수·장윤영 박사, 서울아산병원 조유선 교수류승호 교수는 “한국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마른 체형이 많은 편인데, 이러한 체형적 특성이 갱년기 초기 호르몬 변화와 맞물리면서 서양 여성보다 빠른 시기에 유방암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장유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만도와 호르몬 변화의 상호작용이 한국 여성의 유방암 발생 시기와 연관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이번 연구는 향후 폐경 전후 여성의 체형 및 호르몬 변화에 따른 맞춤형 검진 및 예방전략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의 ‘갱년기 여성의 만성질환 예방 관리를 위한 전향적 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2025년 10월 국제학술지 ‘Breast Cancer Research’(IF=5.6)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