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경보제약, 산업부 ‘AI 기반 의약품제조 자율랩’ 기술개발사업 주관기관 선정 … AI·로봇 융합 생산체계 구축 및 ADC 기술 고도화 추진
  • 남정일 기자
  • 등록 2025-11-06 10:57:29
기사수정
  • 동국제약, ‘CPHI Worldwide 2025’ 4년 연속 참가 … 마이크로스피어 기반 기술, 신제품 ‘유레스코정’ 선보여
  • SK자회사 ‘IDT바이오로지카’, 글로벌 CDMO 수주전 본격 가담 … WVC·CPHI·BIO-Europe 연이어 참가
  • 우정바이오–마스터메디텍, 진행성 간세포암 표적항암제 ‘MMT-IDL’ 공동 신약개발 협력

경보제약 충남 아산시 본사경보제약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AI 기반 표적맞춤형 링커-약물 복합체 제조 자율랩 기술개발’ 과제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결합해 의약품 설계 및 제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바이오의약품 생산 효율을 높이고,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DC) 개발의 기반을 국내에 확립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경보제약은 한국기계연구원, 고려대 등과 공동으로 2029년 12월까지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총 192억원 규모의 사업비 중 약 24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아, AI와 로봇을 접목한 자율실험실 및 의약품 자동화 제조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AI 기반 자율제조 장비를 통해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의약품 제조 단계를 검증하고, 시제품 제작 효율을 높일 방침이다. 표준화된 제조·품질검증 체계를 확립하고, 링커·약물 복합체 설계 및 제조 시스템을 고도화해 ADC 개발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경보제약은 지난해 ADC GMP 생산시설 구축을 위해 약 855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진행하는 등 ADC CDMO 사업을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AI·로봇 기반의 첨단 제조 역량을 확보함으로써 ADC CDMO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동국제약 ‘CPHI Worldwide 2025’ 전시 부스 동국제약은 지난 10월 28~30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산업 전시회 ‘CPHI Worldwide 2025’에 참가했다. 4년 연속 참여다. 

 

동국제약은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자사의 마이크로스피어(Microsphere) 기술을 적용한 장기 지속형 주사제(Depot) 제품인 ‘로렐린데포’와 ‘옥트린라르’의 기술 우수성을 집중 홍보했다. 개량신약인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유레스코정’(두타스테리드+타다라필 복합제)의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한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를 부각하며, 글로벌 바이어들에게 제품의 차별성과 시장 경쟁력을 강조했다.

 

이에 동국제약 부스에는 300건 이상의 기존 거래처 및 신규 바이어가 방문했으며, 유레스코정 관련 신규 상담도 다수 진행됐다.

 

동국제약 관계자는 “이번 ‘CPHI Worldwide 2025’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이 자사의 마이크로스피어 기술과 제품 포트폴리오에 큰 관심을 보였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및 사업 확장을 구체화했으며, 지속적으로 네트워크를 확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IDT바이오로지카 임원진의 ‘CPHI 2025’ 현장 참여 모습

SK바이오사이언스의 유럽 자회사 IDT바이오로지카(IDT Biologika)가 글로벌 백신·바이오의약품 시장을 겨냥한 본격적인 CDMO(위탁개발·생산) 수주전에 나섰다.

 

IDT는 지난달 중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WVC(World Vaccine Congress Europe) 2025’, 이어 같은 달 28일부터 30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CPHI(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 2025’, 11월 3~5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BIO-Europe 2025’에 연이어 참가했다. 기초 연구부터 상업 생산까지 아우르는 전주기(End-to-End) 제조 솔루션과 글로벌 파트너십 전략을 선보였다.

 

WVC는 백신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컨퍼런스로, IDT는 이 자리에서 △세포배양 및 미생물 기반 공정 △공정개발 △품질검증 △완제 충전 등 통합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제약사 및 연구기관과의 수주 미팅을 진행했다.

 

‘기초 연구에서 상업 제조까지 혁신을 연결한다’(Connecting Innovation from Research to Commercial Manufacture)는 올해 WVC 주제에 맞춰 백신, 유전자·면역치료제, 항체의약품 등 차세대 바이오의약품까지 확장 가능한 CDMO 역량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CPHI 2025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제조 전문성과 장기적 파트너십의 결합’(Trusted Manufacturing Expertise with a Strong Partnership Commitment)이라는 주제 아래 △유연한 생산 인프라 △안정적 공급망 △유럽 중심의 글로벌 규제 대응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전 세계 고객사 대상 수주 활동을 강화했다.

 

유럽 최대 규모의 바이오 제약 파트너링 행사인 BIO-Europe 2025에서는 ‘무균 주사제 등 약물물질 및 완제 제조 솔루션’을 주제로 무균 주사제 생산 기술력과 첨단 제조공정 역량, 개발부터 상업화까지 이어지는 통합 CDMO 서비스 체계를 공유하며 글로벌 고객사와 협력 논의를 진행 중이다.

 

이들 행사를 통해 IDT는 단순한 위탁 생산을 넘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략적 CDMO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SK바이오사이언스와의 협업 시너지를 기반으로 글로벌 수주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샐리 최(Sally Choi) IDT 공동 대표는 “WVC, CPHI, BIO Europe은 글로벌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핵심 무대로 IDT의 기술력과 파트너십 역량을 입증한 자리였다”며 “IDT의 비전인 ‘더 건강한 세상을 만드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The reliable partner in creating a healthier world)’가 실현될 수 있도록 고객 중심의 맞춤형 전략과 장기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글로벌 CDMO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IDT는 지난해 SK바이오사이언스가 60%의 지분을 인수하며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양사는 백신 및 첨단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공정개발과 상업 생산, 글로벌 공급망에 이르는 전주기 협력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합성항원·세포배양 기술력과 IDT의 유럽 중심 상업 생산 인프라·규제 대응 경험이 결합되며 생산 효율성과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올해 IDT의 연간 실적 흑자전환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정바이오(위), 마스터메디텍 로고 

 

우정바이오는 단백질 구조기반 신약개발(Structure-Based Drug Discovery) 기업 마스터메디텍과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사업(수요기반형-On Demand)에 선정됨에 따라, 수요기업으로서 해당 프로젝트를 공동 수행한다고 6일 밝혔다.


 

마스터메디텍은 항암제, 고지혈증 치료제, 항생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단백질 구조기반 신약개발 스타트업으로, 최근 급성장 중인 구조기반 약물설계(SBDD)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양사는 진행성 간세포암(HCC, Hepatocellular Carcinoma) 시장의 높은 미충족 의료 수요(Unmet Medical Need)를 해소하기 위해 마스터메디텍의 혁신적 후보물질 ‘MMT-IDL’의 개발 가속화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우정바이오 관계자는 “우정바이오의 비임상(Non-clinical) 역량을 총동원해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신속히 확보하고, 적응증 확장 가능성 검증을 통해 신약 승인 및 기술이전(L/O) 기회를 확대, 성공적인 IND 신청까지 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