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조재형 가톨릭대 교수, ‘메디컬 풋 스캐너’로 ‘레드닷 어워드’ 수상 … 발 질환 조기진단 혁신적 의료기기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5-11-03 11:22:10
  • 수정 2025-11-03 23:06:17
기사수정
  • 이양원 건국대병원 교수, 대한피부과학회 추계학술대회서 ‘남송 정태안 학술상’ 수상
  • 유영동 고려대 안암병원 외과 교수, 세계 최초 다빈치 SP 로봇 췌미부 절제술 성공적 시연
  • 유한양행 주관 ‘유한 결핵 및 호흡기 학술상’에 박재용 칠곡경북대병원, 정만표 삼성서울병원 교수

 

조재형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가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장)가 개발한 ‘메디컬 풋 스캐너 및 이미지 판독 시스템’이 세계적 디자인상인 ‘레드닷 어워드’(Red Dot Award : Design Concept 2025)를 수상했다.

 

독일에서 시작된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레드닷 어워드’는 혁신성과 사용성, 사회적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심사하는 국제인증제도다. 이번 수상은 공학적 창의성과 의학적 통찰을 융합해 환자 중심의 혁신적 의료기기를 선보인 연구 성과로, 한국 의료기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인 의미있는 사례로 평가된다.

 

조 교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조기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해 족부 스캐너 및 이미지 판독 시스템인 ‘메디컬 풋 스캐너’를 개발했다. 360도 전방향 및 상하좌우 다각도 촬영이 가능하며, 스캐너 내부의 거울 반사 구조와 회전형 이미지 장치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얻은 영상을 3D 모델로 재구성함으로써 발의 미세한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기술적 완성도뿐 아니라 심미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루 갖춘 디자인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지난 10월 15일 싱가포르 레드닷 디자인 뮤지엄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조 교수는 “단순한 디자인 성취를 넘어 공학의 창의성과 의학적 통찰의 융합이 환자 진단의 정밀도를 한 단계 높일 수 있음을 증명한 뜻깊은 사례”라며 “임상 현장의 실질적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연구팀은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발 영상을 Foot Mapping 기법으로 분석하고 부위별 기계 학습을 수행해, 족부궤양의 조기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향후 서울성모병원 방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적용 및 코호트 구축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형 당뇨병성 족부궤양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4년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포스텍의 공학기술이 융합됐다.  이양원 건국대병원 피부과 교수이양원 건국대병원 피부과 교수가 지난달 19일 서울 웨스틴 파르나스호텔에서 개최된 제77차 대한피부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남송 정태안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이룬 대한피부과학회 회원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학술상으로, 이 교수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상을 받게 됐다. 

 

이양원 교수는 2013년 ‘오헌 학술상’, 2016년 ‘인봉 학술상’을 수상한 데 이어, 이번 남송 정태안 학술상을 세 번째로 수상하며 명성을 이어갔다. 유영동 고려대 안암병원 간담췌외과 교수가 라이브시술 후 참석자와 질의응답하고 있다. 유영동 고려대 안암병원 간담췌외과 교수가 지난 10월 24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옴니버스파크 컨벤션홀에서 열린 한국최소침습췌장수술연구회(K-MIPS) 제18회 심포지엄에서 세계 최초로 다빈치 SP((Single Port, 단일공) 로봇을 이용한 췌미부 절제술을 라이브 서저리(Live Surgery)를 통해 성공적으로 시연했다. 

 

이번 시연은 세계에서 최초의 시연이 국내에서 생중계돼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유 교수는 최소침습수술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도 췌장수술의 정밀성과 안정성을 높인 수술을 라이브로 선보였다.

 

다빈치 SP는 하나의 작은 절개 부위를 통해 로봇 팔과 카메라를 투입하는 단일공 로봇수술 시스템으로 기존 다공 로봇수술에 비해 통증 감소, 상처 최소화, 회복 기간 단축 등의 장점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 교수는 “췌장수술은 고난도 수술로 로봇수술의 정교함과 SP 시스템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안전성과 정밀성을 높일 수 있었다”며 “이번 시연이 향후 로봇 췌장수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MIPS 심포지엄은 국내외 췌장외과 전문가들이 최신 최소침습 및 로봇수술 기술을 공유하는 학술 행사로, 올해로 18회를 맞았다. 

유재천 유한양행 부사장(왼쪽부터), 정만표 삼성서울병원 교수, 박재용 칠곡경북대병원 교수, 안중현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회장

유한양행과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는 지난 31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린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25년도 정기총회’에서 박재용 칠곡경북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정만표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에게 ‘유한 결핵 및 호흡기 학술상’을 수여했다. 이 상은 1979년 유한양행과 학회가 공동 제정했다. 


최남홍 노원을지대병원 정형외과 교수최남홍 노원을지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대한정형외과학회 ‘만례재단 학술상’ 수상


최남홍 노원을지대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최근 열린 2025 대한정형외과학회 제69차 국제학술대회서 ‘만례재단 학술상’을 수상했다.

 

최 교수는 ‘슬관절의 치유되지 않은 전외측인대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남아있는 Pivot-Shift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그는 “전외측인대 손상 및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남아있는 pivot-shift에 대한 임상적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전외측인대의 치유와 임상 결과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며 “전방십자인대 수술 전 전외측인대의 완전 파열이 동반된 경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전외측인대 재건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만례재단 학술상은 대한정형외과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우수 학술논문과 우수 학술전시에 수여하는 상으로 1980년 제정됐다.   박성현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교수(왼쪽), 김병목 감마나이프센터 방사선사박성현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교수·김병목 방사선사, 대한신경외과학회 ‘정상섭 학술상’ 수상

 

박성현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교수와 김병목 감마나이프센터 방사선사(박사)가 지난 10월 16~18일 개최된 제65차 대한신경외과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뇌정위방사선수술을 위한 뇌혈관조영술 가이드 인디케이터의 개발’ 연구로 ‘대한신경외과학회 정상섭 학술상’을 수상했다.

 

정상섭 학술상은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정위기능 분야 최우수 논문에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이번 연구는 뇌동정맥기형 및 뇌동정맥루 등 뇌혈관기형에 대한 감마나이프 치료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당 연구 논문은 국제 신경외과 학술지인 ‘World Neurosurgery’(IF=1.586)에 게재됐고, 국내 특허로 등록돼 우수성을 입증했다.  박하영 일동생활건강 신임 대표이사일동생활건강 신임 대표에 박하영 상무 선임, 기존 한정수 대표와 각자대표 체제

 

일동제약그룹은 계열사 일동생활건강의 대표이사에 박하영 상무를 11월 1일부로 추가 선임했다. 기존 한정수 대표와 함께 각자대표 체제를 이루게 된다.

 

박 신임 대표는 덕성여대 약대를 졸업했으며, 차의과학대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일동제약에 입사해 △PM(Product Manager) △학술 △개발 △임상 △HS(Health Supplement) 등의 부서를 거치며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 헬스케어 분야에서 폭넓은 실무 경험을 쌓았다. 2024년 일동생활건강에 합류해 생활건강사업본부장으로서 회사의 건강·생활 분야 사업과 이커머스 마케팅, 브랜드 전략 등을 총괄해왔다.

 

한일동생활건강은 2007년 설립된 일동제약그룹의 종합 헬스케어 계열사로, 건강기능식품과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화장품 등의 개발 및 판매, 알칼리 이온수기 렌탈서비스 등에서 다양한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종합 건강기능식품 ‘마이니’, 프로바이오틱스 ‘지큐랩’, 코스메슈티컬 ‘퍼스트랩’, 스포츠 뉴트리션 ‘아로엑스’ 등과 같은 컨슈머헬스케어 브랜드를 선보이며 소비자 접점을 넓혀 나가고 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