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전체뉴스
다발골수종 환자 골절 위험 1.4배 … 골절시 사망 위험은 최대 2.5배 증가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27 09:28:58
기사수정
  • 서울성모병원 연구팀, 국내 빅데이터로 다발골수종 ‘골절-사망률’ 연관성 첫 입증
  • 하정훈 교수 “골절은 단순 합병증 아닌 생존 좌우 요인 … 진단 초기부터 예방·관리 강화 필요”

박성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한승훈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팀(공동 제1저자 하정훈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최수인 약리학교실 교수)이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MM) 환자에서 골절 발생과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국내 대규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9년부터 2020년까지 다발골수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9365명과 성별·연령을 1대1로 매칭한 일반인 대조군 9365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 다발골수종 환자군의 6년 누적 골절 발생률은 10.2%로 일반인 대조군의 8.3%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척추 골절 발생 위험은 일반인 대비 1.36배, 고관절 골절 발생 위험은 1.4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특히 다발골수종 진단 후 1년 이내 골절이 발생한 경우 사망률이 뚜렷하게 증가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진단 1년 내 골절을 경험한 환자군은 비골절 환자군과 비교했을 때 전체 골절의 경우 사망 위험이 1.37배 증가했으며, 골절 부위별로는 척추 골절 1.39배, 고관절 골절 2.46배, 상지 골절 1.94배로 모든 골절 유형에서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특히 고관절 골절의 경우 사망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해 가장 예후가 나쁜 것으로 확인됐다.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암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22년 연간 1961건이 발생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발골수종 환자의 최대 80%는 진단 당시 골용해 병변을 동반하며, 이는 병적 골절로 이어져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다발골수종 환자는 골수종 세포의 침윤으로 인한 골항상성 파괴 때문에 골절 위험이 높다. 골수종 세포는 파골세포 활성을 증가시키고 조골세포 기능을 저하시켜 골용해 병변을 유발한다. 또 골세포가 방출하는 RANKL(수용체 활성화 핵인자 카파-B 리간드,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 과활성화시 골흡수 증가), 스클레로스틴 (Sclerostin, 골세포에서 생성되며 골형성을 억제), Dickkopf-1(DKK1, Wnt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분비성 단백질, 암과 골다공증 초래) 등의 분자 조절이 교란되면서 골수 미세환경이 변화하고 골절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고관절 골절의 경우 신체 기능 저하와 장기간 침상안정을 요구하며, 이 기간 동안 욕창, 감염,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사망률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진단 1년 이내 골절 발생 시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다발골수종 진단 초기부터 골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약물 치료와 환자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항골흡수제(데노수맙, 로모소주맙 등)의 장기 사용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있지만, 다발골수종 환자에서는 치료의 이득이 부작용을 훨씬 상회하므로 골절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시도된 전국 단위 보험데이터를 이용한 다발골수종 골절과 사망 연관성 분석으로, 다발골수종 환자의 골절 발생률을 부위별로 분석하고 골절과 사망률의 연관성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골절은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예후 인자가 될 수 있음을 밝혀냈으며, 이는 임상 현장에서 골절 예방을 위한 적극적 관리 전략 수립의 근거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최수인(왼쪽부터), 하정훈, 박성수, 한승훈 가톨릭대 의대 교수

이번 연구의 1저자인 하정훈 교수는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골절은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박성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 빅데이터를 활용해 환자 치료 전략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시했으며, 다발골수종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골절 예방 관리가 반드시 병행돼야 함을 보여준다”며 “골절 위험 최소화를 위한 적극적 치료와 관리 전략 수립 근거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Nature’ 자매 국제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IF=3.8) 2025년 7월호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