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한국인 치매 코호트로 만든 개방형 플랫폼 개발, 11월 공개 예정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9-25 11:36:26
기사수정
  • 김희진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팀 총괄 … AI로 조기예측. ‘뇌 나이’(brain age)와 치매 발병 위험도 산출

한국인 치매코호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국내 최초의 개방형 DB 플랫폼과 인공지능(AI) 기반 조기 예측시스템이 개발됐다.

 

김희진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서울, 경기, 경북 지역의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기관 치매코호트 데이터를 통합, 1400여 건의 다중모달 데이터를 포함한 개방형 플랫폼 ‘ALEAD’(Advanced Learning and Exploration of Alzheimer’s & Dementia)를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 사업은 오는 11월 공식 공개를 앞두고 있다.AI 기반 치매 조기 예측시스템 모식도이번 성과는 국내 연구진이 다의료기관에서 수년간 축적한 치매 전주기 데이터(임상·뇌영상·바이오마커 등)를 표준화하여 개방성을 갖춘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첫 사례로, 향후 국제적 수준의 정밀의료 연구 인프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플랫폼은 연구자 간 데이터 공유와 협업을 촉진해 국내 치매 연구 생태계를 확장하고, 글로벌 공동 연구와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됐다.

 

연구팀이 함께 공개하는 AI 기반 조기 예측시스템은 뇌영상, 인지기능검사 등 다차원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개인의 ‘뇌 나이’(brain age)와 치매 발병 위험도를 산출한다. 기존의 단일 지표 중심 예측보다 높은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조기 개입 및 맞춤형 진료를 지원하는 임상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크다.

 

이번 연구에서 김희진 교수팀이 코호트 구축과 연구 총괄을 주도하고, 정영희 명지병원‧강경훈 칠곡경북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이 임상 기반 치매코호트 구축에 참여했다. 이제연 한양대 의공학과 교수팀은 AI 기반 조기 예측시스템 개발을 담당했다. 또 진희경 경북대 수의학과, 전진용 한양대 디지털의료융합학과 교수팀은 바이오마커 분석 및 연계 연구를 수행했다. 플랫폼 개발은 피플앤드테크놀러지(대표 홍성표)가 맡았다. 김희진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

김희진 교수는 “이번 성과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통해 국내 치매 연구를 데이터 기반 정밀의학으로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라며 “국내 최초 한국인 치매코호트 자료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연구 플랫폼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켜, 장차 치매 전주기를 아우르는 연구와 더불어 노쇠·파킨슨병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질환 연구로 확장해 나가고, 대만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코호트 연계를 통해 국제 공동연구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