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MRI로 근감소증 진단 … 측두근(머리 양쪽 관자놀이 근육) 두께로 가능성 확인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9-01 10:44:54
기사수정
  • 박강민 인제대 해운대백병원·김진승 부산백병원 교수팀 연구 … 악력‧근육량‧신체수행능력 실증과도 일치

나이를 먹어 근육량이 낙상, 생활기능 저하, 사망률 증가로까지 이어질 정도로 심각하게 줄어든 상태를 ‘근감소증’이라고 한다. 근감소증은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박강민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교수와 김진승 부산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활용해 측정한 ‘측두근 두께(Temporal Muscle Thickness, TMT)’가 근감소증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측두근은 머리 양쪽 관자놀이에 있는 부채꼴 모양의 근육으로 주로 턱을 움직이며 음식을 씹을 때 사용된다. 

 

근감소증은 기존에도 악력검사,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DXA), 체성분 분석기(BIA)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었지만 검사 비용, 장비 접근성, 방사선 노출 등의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뇌 MRI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TMT가 근감소증의 대체 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검증했다.

 

연구는 2018~2023년에 해운대백병원과 부산백병원에서 모집한 건강한 성인 28명을 대상으로 3테슬라 MRI 촬영을 통해 TMT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했다. 동시에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근감소증 진단기기인 ‘올근(Allgeun)’을 이용해 △악력(근력) △종아리·허벅지 둘레(근육량) △5회 의자 일어서기 검사(신체 수행능력)를 평가했다.

 

분석 결과, TMT는 종아리·허벅지 둘레와 악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TMT가 근육량과 근력을 반영할 수 있는 영상학적 지표임을 시사한다. 반면 신체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5회 의자 일어서기 검사와는 뚜렷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박강민 교수는“측두근 두께는 기존 뇌MRI 자료를 활용해 추가 검사나 방사선 노출 없이 근감소증 위험을 간단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노인 환자나 만성질환자에서 근감소증 선별검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승 교수는 “올근은 근육량, 신체 수행능력을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는 소형 기기로, 근감소증의 조기 진단과 중증도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며 “향후 1차 진료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추가 연구와 제품화를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TMT가 근감소증의 새로운 영상학적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 올근이 임상에서 실용적인 선별·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올근'은 종아리 둘레, 악력, 신체활동 능력을 하나의 기기로 측정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쉬워 1차 진료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좋다. 

올근은 임상 현장에서의 사용 편의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핵심 기능을 개선하고, 실제 의료 현장 적용을 검증 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학술지 ‘Healthcare’(IF: 2.7)에 ‘Temporal Muscle Thickness and Sarcopenia Components in Healthy Adults, Validated through Allgeun Diagnostic Tool’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