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유방암 환자, 항암치료 중 인지기능 저하 일시적 … 치매 위험과는 무관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8-18 08:43:33
기사수정
  • 삼성서울병원-숭실대 연구팀, 일반 인구보다 치매 위험 8% 낮아
  • 방사선 치료까지 받으면 23% 감소 … 과도한 치매 걱정보다는 치료에 집중하길

치매에 관한 유방암 환자의 지나친 걱정, 더이상 하지 않아도 된다는 보고가 나왔다. 암환자는 항암치료 과정에서 기억력, 집중력 저하와 같은 ‘케모 브레인’(Chemo Brain)을 경험하는 탓에 치매 걱정이 뒤따르지만, 실제 치매로 이어지는 장기적인 위험은 낮다는 분석이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정수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10~2016년에 유방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7만701명을 기준으로 암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구 집단에서 나이 등 다른 조건을 맞추어 3배 많은 18만 360명을 대조군으로 선발해 비교했다.

   

연구에 따르면 7.9년(중앙값)에 달하는 추적관찰 기간에 치매를 진단 받은 경우는 유방암 환자 군에서 1000인년당 2.45건, 대조군에서 2.63건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이 나이와 성별, 소득수준, 거주지역, 체질량지수(BMI), 당뇨병·고혈압·이상지질혈증 등 동반질환, 흡연, 음주, 활동량 등 치매 관련 위험 인자를 고려했을 때, 유방암 환자의 치매 발병 위험이 일반 인구 대비 8%가량 오히려 낮았다고 밝혔다.

   

특히 항암치료 중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일반 인구 대비 치매 위험이 23%가량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여러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했다. 유방암 치료에 흔히 쓰는 탁센, 안트라사이클린 계열의 약들이 일시적으로 환자의 주의, 집중을 낮출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치매와 관련 있다는 증거가 없다. 또 안트라사이클린 계열 약의 경우 타우단백질 등 치매 유발 물질의 축적을 막거나 이미 쌓인 것들도 제거하는 식으로 보호효과가 작용했을 것으로 풀이했다.

   

방사선치료 역시 해외 연구 사례에서 치매환자의 뇌에 3그레이(Gy)의 방사선을 조사했을 때 뇌의 염증반응이 줄어들어 인지기능이 향상됐다는 보고를 기반으로 유방암 환자에도 비슷한 영향을 줬을 것으로 봤다. 유방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할 때 50그레이(Gy) 당 평균 0.2그레이(Gy)가량은 뇌에도 방사선이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라면 항암치료에 따른 치매를 걱정하기보다 다른 위험인자에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같은 유방암 환자라도 치매 발생 위험이 흡연자에서는 2.04배, 당뇨병이 있으면 1.58배, 만성 신장질환자에서는 3.11배까지 증가했기 때문이다.   

신동욱 교수는 “유방암 환자들이 항암치료 중 인지기능 저하를 경험할 수 있지만 일시적일 뿐 치료과정에서 회복되기 마련”이라며 “항암치료 탓 치매 걱정은 내려놓고, 합병증 관리를 잘 하면서 치료에 전념해 건강을 회복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수민 교수는 “유방암 치료 과정에서 일시적인 인지기능 저하를 겪는 환자들이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이러한 인지기능 저하가 장기적인 치매 위험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치료에 대한 불안보다 회복과 건강 유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치매’(Alzheimer Disease in Breast Cancer Survivors)라는 제목으로 ‘JAMA Network’(IF=10.5) 최근호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