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석준 아주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아시아부인종양학회 회장 취임 … UC어바인 난소암수술 워크숍 아시아 유일 튜터
- 장석준 아주대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지난 7월 17일부터 19일까지 일본 도쿄 국제포럼에서 열린 ‘제10차 아시아부인종양학회(ASGO)’ 학술대회에서 제9대 회장으...
- 2025-07-23
-
- B형 간염, 증상 없어 방치하면 간경변·간암 위험, 꾸준한 관리 필수
- 세계보건기구(WHO)는 오는 2030년까지 B형과 C형 간염으로 인한 공중보건 위험 종식을 위해 매년 7월 28일 ‘세계 간염의 날’로 정했다. 우리나라도 간염 ...
- 2025-07-23
-
- 자궁경부암, 수술 없이 치료 … 바이오플라즈마로 암세포 사멸 유도
- 바이오플라즈마 기술로 자궁경부암을 수술 없이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권병수 경희대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김종민 숙명...
- 2025-07-23
-
- 치매 막는 ‘수면 중 뇌 세척’ 담당 아교임파계 활성도 실시간 측정 기술 개발
- 치매를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 등 뇌 속 노폐물이 자는 동안 효과적으로 배출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
- 2025-07-23
-
- 국립암센터, 글로벌 정밀의료 선도 … 룩셈부르크 국립보건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오케스트로, 싸이퍼롬과 연합체 구성
- 국립암센터는 7월 21일 룩셈부르크 국립보건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오케스트로, 싸이퍼롬과 함께 ‘국제 건강데이터 스페이스 이니셔티브(IHDSI)’ 출...
- 2025-07-22
-
- 김윤희 국립암센터 교수팀, 구강암 정밀치료 위한 새로운 3종 분류 체계 개발
- 김윤희 국립암센터 분자영상연구과, 최성원 희귀암센터 구강종양클리닉, 신동관 생물정보연구과 교수, 이미림·강수민·이종현 박사가 권익재 서울...
- 2025-07-22
-
- 건강검진에서 ‘시신경유두함몰비 증가’로 나왔다면 ‘녹내장’ 여부 체크하세요
- 시신경은 일단 손상이 발생하면 회복이 어렵다. 전체 시신경의 30% 이상이 파괴된 후에야 시야결손과 같은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특별한 자각증상도 없어 주기...
- 2025-07-22
-
- 간기능 저하된 간세포암 환자에서도 면역항암제 효과 확인 … 치료 사각지대에 희망
- 가톨릭대 의료진이 간세포암 환자 가운데 간 기능이 일부 저하된 상태인 Child-Pugh Score 7점(CPS 7)의 환자에서도 면역항암제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atezoli...
- 2025-07-22
-
- 암 환자 80%, 진단 후 치료 전까지 2곳 이상의 병원 방문
- 국내 암 환자의 80%가 암 진단 후 치료 전까지 2곳 이상의 병원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은 모두 처음 방문한 곳이 아닌 나중에 방문한 병원에서 치료...
- 2025-07-22
-
- KMI한국의학연구소, 세계보건기구 건강증진병원(WHO-HPH) 인증 획득 … 4년간 건강증진 활동 동참
- KMI한국의학연구소는 지난 15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주관하는 건강증진병원(WHO-HPH) 인증을 획득했다.이 인증은 의료기관이 단순한 치료를 넘어 건강증진을 위...
- 2025-07-22
-
- 짐바브웨에 ‘희망의 인술’ 펼친 강동원‧전진경 부부, 2025 JW성천상 수상 … 연세대 동문, 2012년부터 헌신
- JW중외제약의 공익재단인 JW이종호재단은 ‘2025 JW성천상’ 수상자로 강동원 아프리카미래재단 짐바브웨 지부장과 전진경 메디컬디렉터를 선정했다고 22...
- 2025-07-22
-
- 폭우 끝에 폭염 기승 …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 주의보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온도 상승과 북쪽 찬 공기의 충돌로 지난주 100년 내지 200년에 한번 올까말까한 집중 폭우가 내렸다. 폭우가 지나자 이번에는 폭염...
- 2025-07-22
-
-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세계 최초’ AI 기반 담관암 세포 진단기술 개발
- 담관에 생기는 악성 종양인 담관암은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렵고,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돼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 2022년 국가암등록...
- 2025-07-22
-
- 전진평 한림대 교수팀, 뇌 손상 부위로 신경줄기세포 이동 가능성 메커니즘 규명
- 뇌에서 분리한 고순도 신경줄기세포가 혈관내피세포를 통해 뇌 손상 부위로 이동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진평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신경외과 ...
- 2025-07-21
-
- 폭음이 촉발하는 간세포–면역세포 간 글루타메이트 신호전달 알코올성 간질환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 양경모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정원일 KAIST 교수, 김원 서울시 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이 알코올성 간질환의 핵심 발병 메커니즘을...
- 2025-07-21
-
- 서울아산병원, 14회 서울심장판막시술 국제학술회의 8월 7~8일 워커힐서 개최 … 고난도 판막시술 13건 라이브 중계
- 심장혈관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후원하는 ‘제14회 서울심장판막시술 국제학술회의(SEOUL VALVES 2025)’가 오는 8월 7일부터 8일까...
- 2025-07-21
-
- 이동원 건국대병원 교수, 대한체육회 스포츠의학위원 위촉 … 무릎수술 전문가
- 이동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최근 대한체육회 스포츠의학위원으로 공식 위촉됐다. 이동원 교수는 무릎 스포츠 손상 분야에서 오랜 임상 경험을 바탕...
- 2025-07-21
-
- 체질량지수(비만) 및 허리둘레(복부비만)에 따른 암 발생 위험 달라져
- 비만 관련 지표인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에 따른 암 발생 위험이 암종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암종이라도 성별로 나뉘고, 여성은 폐경 여부에 따라...
- 202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