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용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박재용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10월 4~7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유럽 소화기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National Scholar Award’를 수상했다.
박 교수는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연구비 지원 과제로 수행한 ‘구강 건강과 치주 질환의 식도암 발생과의 연관성’(Association of Oral Health and Periodontal Disease with Esophageal Cancer Risk: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을 주제로 한 연구 발표로 성과를 인정받았다.
박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하여 11년간 국내에서 새롭게 진단된 식도암 환자 1만900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병력·흡연·음주력 등 주요 위험요인뿐만 아니라 구강검진 결과와 구강위생 행태 정보를 연계해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상실 치아, 취침 전 또는 일상적 칫솔질 빈도 저하, 치간세정기 사용 부족, 치주질환 등이 식도암 발생 위험 증가와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확인됐다. 불량한 구강 위생이 식도암 발생과 연관될 수 있고, 식도암 위험 평가 체계에 구강 건강 평가를 포함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상부위장관의 발암 과정에서 구강 미생물군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성환 한림대 교수(왼쪽부터), 한승석 아이피부과 원장, 나정임 분당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 조수익 인스킨랩 대표
김성환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성형외과 교수팀(한승석 아이피부과 원장, 나정임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조수익 인스킨랩 대표)은 피부진단 AI의 글로벌 성능을 검증한 연구로 ‘한빛사’에 선정됐다.
연구논문은 ‘피부질환 AI의 실제 임상 및 전 세계 사용자 환경에서의 성능 검증’(Planet-wide performance of a skin disease AI algorithm validated in Korea)이라는 제목으로, 네이처 포트폴리오(Nature Portfolio) 산하 국제학술지 디지털 메디신(npj Digital Medicine, IF:15) 최신호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스위스 바젤대, 칠레 가톨릭대 등 세계 주요 기관이 공동 연구에 참여했다.
김성환 교수팀은 강남성심병원과 서울대병원 등 9개 병원의 70개 피부질환 15만2443건의 대규모 임상 데이터와 전 세계 228개국에서 수집된 모델더마톨로지(ModelDerm)의 글로벌 실사용 데이터 169만 건을 분석해 AI의 임상적 신뢰성과 정확성을 세계적으로 검증했다. 실시간 데이터로 전 세계 피부질환 패턴을 분석 및 시각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성능 검증 결과, 모델 더마톨로지는 국내 임상데이터 15만 건과 글로벌 실사용 데이터 169만 건을 기반으로 피부암 진단에서 민감도(암을 정확히 찾아낼 확률) 78.2%, 특이도(암이 없는 사람을 올바르게 구분할 확률) 88% 기록하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지역별 분석에서는 북미에서 피부암(2.6%)이 상대적으로 많고, 아시아에서는 양성종양(55.5%), 아프리카에서는 감염성 질환(17.1%)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I가 단순히 이미지를 분류하는 수준을 넘어 국가별 질병 분포, 유병률, 피부색, 생활환경까지 반영하며 맞춤형 질병 예측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피부진단 AI 알고리즘 모델더마톨로지의 전 세계 사용 기록을 국가별 질환 빈도와 관심도로 시각화해 실시간 집계 플랫폼(https://stat.modelderm.com)을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누구나 접속해 국가별 피부질환 현황과 관심 질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김성환 교수는 “이번 연구는 AI가 임상 현실에서 얼마나 정확히 작동하는지를 세계적으로 입증한 사례”라며 “피부암 조기진단과 AI 기반 질환 예측 기술을 고도화해 환자 진단·치료에 직접 도움이 되는 의료 인공지능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세계 상위 3% 이내 또는 JIF 10 이상 학술지에 게재된 국내 연구성과를 한빛사(한국을 빛내는 사람들)로 선정해 소개하고 있다.
이해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이해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가 지난 7월 심장혈관 분야 및 심장혈관흉부외과 의사로는 국내 최초로 임상유전학인증의 자격을 취득했다.
임상유전학인증의는 대한의학유전학회가 임상유전학 관련 연구와 임상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의사에게 1년에 1회 엄격한 심의를 거쳐 부여하는 인증 자격으로 현재 임상유전학인증의는 100명도 채 되지 않는다.
이 교수는 말판증후군 등 희귀난치성 질환인 유전성 대동맥질환을 임상에서 유전상담 및 수술적 치료를 해왔으며, 이번 인증의 자격 취득으로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유전성 대동맥질환은 특성상 발현 시기와 속도를 특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평생 모르고 살 수도 있지만, 어느 날 갑자기 증상이 발현돼 응급 상황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Next-Generation Sequencing) 등 체계적인 진단과 예방적 치료가 필요하다.
이해 교수는 “유전자검사 또는 정보 해석의 한계로 실제 임상에서 유전성 대동맥질환이 의심돼 유전자검사를 진행하면 진단율은 30~40%에 불과하기에 임상유전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더욱필요하다”며 “인증의 취득을 통해 이대대동맥혈관병원이 대동맥혈관 수술 분야의 세계 최고를 넘어 임상유전학까지 다양한 치료 옵션을 갖춘 병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해 교수는 지난 10월 11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EACTS)에서 유전성 대동맥질환 관련 초록 발표로 ‘EACTS/STS Award’를 수상해 국제 무대에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 연구는 이경아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팀과 공동 연구로 대동맥 조직을 이용해 진단되지 않은 유전성 대동맥질환을 추가로 진단했고 수술 후 얻게 되는 대동맥 조직을 활용해 유전성 대동맥질환의 중개의학(translational medicine) 연구 가능성을 열어뒀다. 아울러 대동맥질환 가족력이 없는 60세 이상의 환자에서도 유전성 대동맥질환이 진단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김재헌 순천향대 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김재헌 순천향대 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가 글로벌 정보분석 및 학술출판 기업 엘스비어(Elsevier)와 스탠퍼드대(Stanford University)가 공동 발표한 ‘2025 세계 최상위 2% 연구자(World’s Top 2% Scientists)’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명단은 22개 학문 분야와 174개 세부 분야에서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스코퍼스(Scopus)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논문 피인용도, h-인덱스 등 6개 주요 지표를 종합 분석해 선정한다. 연구자의 학문적 영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대표적 국제 지표다.
김 교수는 최근 10년간 뛰어난 학술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2024년 10월 김세철 학술인상을 수상했다. 10년간 200편 이상의 논문을 국제학술지 및 다수의 논문인용지수(IF) 10점 이상의 저널에 주저자로 발표했다.
유제현 가천대 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유제현 가천대 길병원 교수, 대한재활의학회 ‘최우수 연제상’ … 걸음걸이 분석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개인맞춤형 치료 제안
유제현 가천대 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가 ‘제53회 대한재활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The 53rd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에서 ‘재활의학 최우수 연제상’을 수상했다.
유 교수는 ‘Personalized modeling for gait analysis and decision-making in FDO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변형절골술(femoral derotational osteotomy, FDO)을 위한 보행 분석 및 의사결정을 위한 개인맞춤형 모델링)을 주제로 수상했다.
기존의 수술 전 보행분석은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근골격 모형을 적용해 개별적인 근골격 변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각 아동의 실제 다리 골 변형을 그대로 반영한 ‘맞춤형 모델’을 도입함으로써 수술이 꼭 필요한 환자를 더욱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었다. 또 수술 후 보행 개선 효과도 뚜렷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의 골 변형 수술을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 교수는 “뇌성마비 아동들의 치료는 매우 중요하고 섬세함이 요구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개인 맞춤형 치료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종영 한림대 성심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한림대 성심병원, 서울아산병원 출신 ‘심혈관질환 명의’ 이종영 교수 초빙 … 고난도 시술 1만 건 이상 집도
한림대 성심병원은 11월 1일부로 심혈관중재시술 분야 권위자인 이종영 전 서울아산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를 영입하고 고난도 심혈관질환 진료 역량 강화에 나선다.
이 교수는 협심증과 급성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해 말초혈관, 대동맥질환, 경피적대동맥판막치환술(TAVI), 심장재활, 스포츠 심장학 등 심혈관질환을 전문 진료한다. 특히 만성완전폐쇄성관상동맥병변(CTO)을 포함한 고난도 관상동맥중재술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1만 건 이상의 시술을 집도했다.
이 교수는 국내 최초로 TAVI를 시행한 시술팀의 일원으로 한국 TAVI 1세대로 꼽힌다, 심방중격결손(ASD)이나 난치성 난원공(PFO) 같은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해 전신마취 없이 심장내초음파(ICE)를 활용한 중재시술도 활발히 시행 중이다.
성심병원은 이 교수의 합류로 고난도 관상동맥중재술과 TAVI 시술을 본격 확대한다. 특히 절개를 최소화하고 전신마취를 지양하는 ‘미니멀리스트(Minimalist)’ 시술을 중심으로, 내과·외과·영상의학과 등 여러 진료과 교수진이 참여하는 다학제 협진 체계를 통해 진단부터 시술, 수술, 재활까지 통합된 심혈관질환 치료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종영 교수는 “심혈관질환 치료는 환자의 생존율뿐 아니라 회복 속도와 일상 복귀, 장기적인 삶의 질까지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이 중요하다”며 “성심병원의 심혈관질환 다학제 시스템을 통해 환자맞춤형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 교수는 서울아산병원 심장병 예방 및 재활센터장, 강북삼성병원 심장센터장을 지냈다. 현재 말초혈관중재시술연구회 연구위원장과 만성폐쇄성관동맥질환 연구회 대외협력위원장으로도 활동 중이며 베트남, 홍콩, 대만 등 해외 의료진을 대상으로 심혈관중재술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는 등 우리나라 의료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있다. 국내 최초의 미국심폐재활협회 인증 심장재활전문의이기도 하다. 
이선영 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위염의 내시경과 혈액검사소견’ 출간
이선영 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증례로 배우는 위염의 내시경과 혈액검사소견’을 출간했다. 이 책은 내시경 소견을 혈액검사 결과와 함께 정리하면서 그 소견에 따라 △위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필요한 현감염자’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진이 필요한 과거 감염자’ △‘추적 관리가 필요한 자가면역성 위염 환자’ △‘위암 발생률이 낮은 비위축성 위염 환자’ △‘위내시경 검진이 필요 없는 미감염자’ 순으로 분류했다.
이 교수는 “위내시경 검사 후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에 대한 감염 상태를 현 감염, 과거 감염, 미감염으로 분류해서 수진자에게 알려준다면 40세 이상의 모든 국민이 2년마다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위종양 발생률이 높은 자가면역성 위염이나 헬리코박터 감염자들은 제균 치료 후에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진을 받아야 하지만, 미감염자는 위암 발생률이 낮아서 위내시경 검진이 불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요즈음처럼 위내시경 검사를 많이 하는 시기에 꼭 필요한 지식을 책에 담았다”며 “위염의 내시경과 혈액검사소견 증례를 접하다 보면 ‘정확한 위염의 진단은 혈액검사로 완성된다’는 것을 실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책은 혈액으로 위암의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펩시노겐 검사의 상대적 금기증에 해당하는 위절제술, 제균 치료 후, 위산억제제 복용 등에 이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도 다뤘다. 이 교수는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이 책 내용에 따라 위내시경 수진자를 ‘위암 발생률이 높은 순부터 낮은 순’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면 저자로서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소회를 덧붙였다.
조민철 고려대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조민철 고려대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국제학술대회 우수연구자상
조민철 고려대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가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국제학술대회(LMCE 2025)에서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진단검사의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와 학문적 기여도가 입증된 매년 3명의 연구자에게 주어진다.
조 교수는 ‘다중 등온 루프 매개 증폭법(LAMP)을 이용한 세균성 인공관절 주위 감염 진단법의 개발’(Development of a multiplex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for the diagnosis of bacterial periprosthetic joint infection)이라는 주제로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인공관절 주위 감염(periprosthetic joint infection, PJI)을 진단하기 위해 다중 LAMP 기반 분자진단법을 개발한 것으로, 기존 검사법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PJI에서 빈번히 관여하는 5종의 세균들을 하나의 패널로 구성하고 이를 다중 LAMP 기반 등온증폭 조건으로 통합함으로써 여러 주요 병원체를 단일검사로 쉽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최적화했다. 이번에 개발한 검사법은 1시간 정도에 PJI 주요 원인균을 검출하며 민감도는 기존 PCR 검사와 비교해 동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교차반응 없이 표적균만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같은 결과는 임상현장에서 PJI의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여, 치료의 시기와 항균제 선택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기존 배양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으로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PJI 환자의 빠른 치료 결정과 임상적 예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 교수는 “인공관절 주위 감염은 진단이 지연되면 재수술, 입원 기간 연장, 광범위 항생제 사용으로 이어져 환자에게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검사실에서 빠르고 재현성 있는 분자진단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PJI에서 흔히 문제가 되는 세균을 한 번에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해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진단 옵션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효열 충북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이효열 충북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자가골연골이식술 우수성 입증
이효열 충북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무릎연골손상에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OATS)’을 시행한 환자의 이식 연골이 장기적으로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생착됨을 정량적 MRI(Quantitative MRI) T2 mapping 를 통해 입증했다.
이 교수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 시행 후 정량적 MRI를 이용한 연골 상태 변화 및 임상적 만족도 평가’(Autologous Osteochondral Transfer Demonstrates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and Durable Cartilage Properties: A Mean 4-Year Follow-up Using Quantitative MRI, 교신저자 김종민 서울아산병원 교수)라는 논문을 미국 정형외과 스포츠의학회의 공식 SCI급 학술지인 ‘Orthopaedic Journal of Sports Medicine’(IF 2.5) 2025년 최신호에 게재했다.
무릎 관절 연골은 한번 손상되면 스스로 치유되기 어려우며, 손상을 방치하면 말기 관절염으로 진행되어 결국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손상 초기에 다양한 연골 복원 수술이 시행된다.
연골 복원 수술에는 △연골 재생을 유도하는 방법(줄기세포·콜라겐 유도재생술) △연골 자체를 이식하는 방법(자가골연골이식술, Osteochondral Autograft Transplantation Surgery, OATS)이 있다. 연골 재생술은 재생된 연골이 본래 관절을 구성하는 초자연골이 아닌 ‘섬유연골’의 함량이 높아서 탄력성과 윤활 기능이 떨어진다는 점, 재생되는 정도가 환자마다 다르다는 점 등이 한계로 지적됐다.
반면 OATS는 환자 본인 무릎의 비체중 부위에서 건강한 ‘초자연골’을 채취해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재생을 기다릴 필요 없이 즉시 우수한 품질의 연골로 결손 부위를 수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동안 OATS는 장기적으로 임상 결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졌지만 연골을 채취한 공여부에 대한 우려, 이식된 연골의 ‘질’ 자체가 수술 후에도 잘 유지되는 여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부족하다는 점이 거론돼왔다.
이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OATS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4년이 지난 시점에서 정량적 MRI를 이용해 이식된 연골의 상태를 정밀 분석했다. OATS 후 치료 성적 평가에 정량적 MRI 방법을 적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었다.평가 결과 이식된 연골이 주변 연골과 잘 생착되고, 수술 직후와 비교해 4년까지도 큰 변화 없이 잘 유지됨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연골재생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지만, OATS는 여전히 대체할 수 없는 장점이 많은 수술”이라며 “다만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연골 결손부와 공여부의 상태에 대한 정밀한 평가가 필요하므로 경험이 많은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