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바티스는 지난 12!~1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2025년 유럽혈액학회(EHA, European Hematology Association)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CML) 치료제로서 국내 최초로 허가된 STAMP(Specifically Targeting the ABL Myristoyl Pocket, ABL 미리스토일 포켓 특이 표적) 억제제 계열 ‘셈블릭스정’(Scemblix 성분명 애시미닙 Asciminib)의 1차 치료 관련 3b상 연구 ‘ASC4START’의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1차 치료 단계에서 셈블릭스와 기존 2세대 TKI인 닐로티닙(nilotinib)의 내약성과 치료 효과를 비교 평가한 피험자 무작위 배정, 오픈라벨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총 568명의 CML 환자가 참여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무작위로 두 치료군 ‘셈블릭스 80mg 1일 1회’(284명) 또는 ‘닐로티닙 300mg 1일 2회’(284명) 중 하나에 배정됐다. 이 중 닐로티닙을 실제로 투여받지 않은 환자 2명은 안전성 분석에서 제외됐다. 추적기간 중앙값은 9.7개월이다.
셈블릭스 치료 중단율, 기존 TKI 대비 약 37% 감소한 10.9%로 확인
ASC4START 연구의 1차 평가지표인 ‘이상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까지의 시간(TTDAE)’ 분석 결과, 지난해 9월 3일 데이터 컷오프 시점에서 셈블릭스 투여군의 치료 중단율은 10.9%로 닐로티닙 투여군의 17.3% 대비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상반응으로 인한 (전체) 치료 중단율은 셈블릭스 투여군이 4.9%, 닐로티닙이 11.9%였다. 치료 효과 불충분으로 인한 (전체) 치료 중단율은 셈블릭스 투여군은 2.5%, 닐로티닙 투여군이 2.8%를 기록했다.
모든 등급의 이상반응은 셈블릭스 투여군에서 80.3%, 닐로티닙 투여군에서 86.5%의 비율로 발생했다.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은 셈블릭스 25.0%, 닐로티닙 31.9%였다. 용량 조정 또는 치료 일시 중단을 유발한 이상반응은 셈블릭스 24.3%, 닐로티닙 30.1%였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반응(발생률 10% 이상)은 혈소판감소증(셈블릭스 15.1% vs 닐로티닙 13.8%), 두통(10.2% vs 13.1%), 근육통(10.2% vs 8.2%), 발진(8.5% vs 16.3%), ALT 수치 증가(3.2% vs 12.4%)으로 셈블릭스가 낮았다. 주요 관심 이상반응으로는 동맥 폐색 사건(0.7% vs 2.1%), 급성 췌장염(0.4% vs 2.5%), 간독성(실험실 수치 포함, 8.1% vs 24.8%) 등이 보고됐다.
김동욱 을지대의료원 혈액내과 교수는 “CML의 1차 치료에 사용되는 기존 TKI 치료제는 장기 복용 시 내약성 문제가 발생, 효과가 나타나더라도 치료 지속이 어려운 경우가 잦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셈블릭스는 기존 TKI 대비 상대적으로 개선된 내약성을 입증해 기존 치료제 사용이 어렵던 환자들의 치료 전략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셈블릭스는 치료 효과 측면에서도 모든 주요분자반응 지표에서 닐로티닙 대비 우수한 결과를 동시에 입증헀다.
ASC4START 연구의 2차 평가지표인 분자반응률 분석 결과, 12주 시점에서 주요치료반응(BCR::ABL1IS<10%) 결과는 셈블릭스 89.8%, 닐로티닙 82.0%였으며, BCR::ABL1 IS 1% 이하 달성률은 각각 69.0%, 52.5%였다. 주요분자반응(MMR, Major Molecular Response)의 경우 셈블릭스는 22.9%, 닐로티닙은 10.2%였으며, MR4와 MR4.5 기준 반응률은 셈블릭스가 4.6%, 2.5%, 닐로티닙은 1.1%, 0.4%로 나타났다.</p>
김동욱 교수는 “이번 ASC4START 연구에서 셈블릭스는 BCR::ABL1 IS ≤1% 및 MMR 등 모든 주요분자반응 지표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며 “조기 치료반응을 빠르게 확보할수록 장기적인 치료 성과가 좋아지는 CML의 특성을 고려할 때, 셈블릭스는 의미 있는 1차 치료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약제로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노바티스는 ‘글리벡’(성분명: 이매티닙)을 시작으로 2세대 TKI ‘타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 국내 최초로 허가된 4세대 치료제이자 STAMP 억제제인 ‘셈블릭스’ 등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를 개발 및 공급해왔다.
셈블릭스는 2가지 이상의 TKI 치료를 받은 Ph+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치료제로 2022년 6월 국내 허가를 획득했다. 2023년 7월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았다. 2025년 2월에는 Ph+ CML 성인 환자의 1차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