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귀영 중앙대병원 교수팀, 인코보툴리눔톡신 활용한 종아리라인 개선 효과 입증
- 박귀영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교신저자)와 최호성 피어나의원 원장(제1저자) 연구팀이 독일 멀츠(Merz)가 개발한 인코보툴리눔톡신-A 제제 ‘제오민’(X...
- 2025-09-30
-
- “외래진료서 진료 시간보다 대화 방식이 환자중심성 좌우”
- 외래진료 시 진료시간이 길다고 해서 소통의 질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시 보라매병원과 서울대 보건대학원 공동 연구팀은 실제 ...
- 2025-09-30
-
- 원자력의학원, 자궁경부암 중간위험군 방사선치료에 항암화학요법 추가해도 생존율 이점 없어
- 유상영 원자력병원 산부인과 박사팀은 대규모 국제 임상시험을 주관, 수술 후 중간위험군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항암화학요법을 추가하는 것이 생존율 향상에...
- 2025-09-30
-
- 환자 신장 CT 정보 암호화한 상태서 인공지능으로 정상 신장, 낭종, 종양 정확히 분류
- 최근 컴퓨터단층촬영(CT)과 같은 의료영상을 분석할 때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진단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이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실제 임상...
- 2025-09-29
-
- 김효수 서울대 교수팀, 면역거부반응 없는 범용 혈관내피세포 생성 유도 기술 개발
- 김효수·한정규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와 김종일 서울대 의대 의과학과 교수팀이 인간 줄기세포로부터 면역 거부반응이 없는 혈관내피세포를 생산...
- 2025-09-29
-
- 심정지 소생 후 첫 6시간 동안 급성기 동맥압 80mmHg로 유지해야 뇌 기능 회복 가능
- 김수진 고려대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팀(1저자 이시진 교수)이 최근 심정지 후 소생 환자의 혈압 유지의 최적 목표치를 확인하고 심정지 후 목표 혈압유지 ...
- 2025-09-29
-
- 폴피리녹스 병용요법 담도암 2차 약제로서 폴피리, 폴폭스 대비 우위 확인
- 담도암 2차 치료 성적을 높이는 병용요법의 유효성을 평가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메타분석 결과 폴피리녹스(FOLFIRINOX)가 폴피리(FOLFIRI), 폴폭스(FOLFOX), 나노리포...
- 2025-09-29
-
- 암 진단 후에도 담배 피면 심근경색 위험 최대 64% 상승
- 암 진단 후에도 흡연을 계속하면 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최대 64%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암을 계기로 금연한다면 흡연을 지속하는 경우에 비해 ...
- 2025-09-29
-
- 조일주 고려대 교수팀, 뇌 오가노이드 활용 차세대 약물 스크리닝 기술 개발
- 조일주 고려대 의대 융합의학교실 교수팀(조승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강훈철 연세대 세브란스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교수, 신효근 경북대 전자공학부 ...
- 2025-09-25
-
- 한국인 치매 코호트로 만든 개방형 플랫폼 개발, 11월 공개 예정
- 한국인 치매코호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국내 최초의 개방형 DB 플랫폼과 인공지능(AI) 기반 조기 예측시스템이 개발됐다. 김희진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팀...
- 2025-09-25
-
- 남성 동성애자 대상, HIV 노출전 예방요법(PrEP)의 안전성·효과성 입증
- 국내 남성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한 HIV(에이즈 유발 바이러스) 노출 전 예방요법(pre-exposure prophylaxis, PrEP)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입증됐다. PrEP(프렙)이란 HIV 감염...
- 2025-09-25
-
- 위암, 줄기세포성·위 점막형 두 아형 분류 … 줄기세포성이 혈행성 전이 위험 2.9배 높아
-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위암 환자에서 혈액을 타고 간, 폐, 뼈, 부신 등으로 퍼지는 ‘혈행성 전이’를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적 특징을 세계 ...
- 2025-09-24
-
- 동탄성심병원, 전방십자인대 재건 시 최소침습 6가닥 힘줄이식술 효과 국내 최초 입증
- 날씨가 선선한 가을철이 되며 스포츠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는데, 이때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주의해야 한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에서 가장 흔하게 ...
- 2025-09-24
-
- 가족 단위 유전자분석 결과 같은 유전자 변이라도 발생한 위치에 따라 증상 달라져
- 유희정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한·미 자폐 가족 코호트 데이터를 분석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
- 2025-09-24
-
- 통근 시간 길어지면 외로움 커져 … 자가용 이용시 외로움 더해
- 통근 시간이 1시간이 초과되고, 자가용으로 출퇴근하면 외로움의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외로움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뿐 아니라 치매, 뇌...
- 2025-09-24
-
- 항바이러스제 투여로 거대세포바이러스 앞포도막염 재발 60% 낮춰
- 항바이러스제가 재발 위험이 높은 거대세포바이러스 앞포도막염(cytomegalovirus anterior uveitis)의 재발률을 60% 낮추고, 각막 내피세포 손실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
- 2025-09-24
-
- 국립암센터, 한국 자궁경부암 2034년에 조기 퇴치 가능성 제시
- 최귀선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교수팀은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와 인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 접종 전략을 분석한 결과, 현재 정책을 유지...
- 2025-09-24
-
- 김도경 경희대 교수팀, 구리-철 나노복합체 이용 ‘세포사멸’ 기반 암세포 치료제 총설 게재
- 김도경 경희대 의대 정밀의료학과 교수팀이 암세포의 기존 ‘세포 사멸(apoptosis)’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암 치료 전략을 소개했다. 연구팀은...
- 202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