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서울병원, 혈관 내 복잡한 스텐트 시술, 혈관 내 영상장비 사용 효과 남녀 차이없어
-
위암 위아전절제술(부분절제)에서 완전복강경 수술이 보조 복강경보다 삶의 질 개선
-
표준요법+당뇨병 치료제 ‘글리플로진’, 심부전에 의한 판막합병증 최적 약물
-
구희범 가톨릭대 교수, 시간에 따라 경화되는 생체 주입형 하이드로젤 개발
-
조현병 증상 새로운 원인 지표, 뇌 속 ‘반응성 별아교세포’ 활성 증가
-
조주영 차의과학대 강남차병원 교수, ‘하이브리드노츠’로 위암 부위만 절제 가능
-
서울아산병원,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활용한 정신건강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 착수
-
조기폐경 여성이 심장 이완기장애 있으면 심혈관질환 위험성 2.2배 증가
-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저용량’ 약물도 효과적 종양 사라져도 유지치료 지속해야
-
권이영 인하대병원 교수, 2013년 분할 간이식 확대 전후 담도폐쇄증 환자 생존율 변화 확인
-
삼성서울병원 “양성자 암치료, 중입자 치료 대비 재발 예방 효과 31% 더 높아”
-
함원식·박지수 연세대 교수 … 과민성방광 치료제 ‘치매’ 유발 가능성 높여
-
고려대 안암병원, 그레이브스병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와 암 발생 위험 관계 규명
-
세포내 산화철 나노입자 분해와 특이적 세포사멸 조건 규명
-
삼킴곤란 원인 못 찾았다면 식도근육 두께 다시 검사해봐야
-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군발두통 산소치료의 효능 아시아인 대상 최초 입증
-
베링거인겔하임 개발 4세대 EGFR 폐암 표적치료제 ‘BI-4732’ 전임상시험서 효과 확인
-
미숙아 기관지폐이형성증 중증도에 따라 입원기간 달라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