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야모야병 수술 후 과관류증후군 발생 환자, 뇌 자동조절 기능 낮아
-
가톨릭중앙의료원, 유전자가위 기술로 RNA 편집 … 신경계 난치병 치료 도전
-
서울성모병원, 다발골수종 치료성적 발표 … 12년간 장기분석 결과 중앙생존기간 80개월
-
여의도성모병원, 위암 병기 결정에 新 역동적 CT 진단이 정확도 제고
-
BRCA1/2 유전자 변이 유방암 환자, 유방보존치료 충분히 효과
-
“게임하면 사회성 능력 향상”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사회적의사소통장애 치료효과
-
발치 전 골다공증 치료제 중단 길수록 턱뼈 괴사 위험 낮아
-
암생존자 심근경색·뇌졸중 발병, 코로나19 전후로 달라졌다.
-
세브란스병원, 아토피피부염 면역치료 효과 매개하는 세포 규명
-
“정신과 약 먹으면 살찐다?” … AI가 예측해 예방한다
-
강남세브란스병원 ‘알츠하이머병’ 완벽 감별, 족집게 물질 찾았다
-
팔꿈치 인공관절 재수술, 첫수술보다 어렵지만 환자만족도는 오히려 높아
-
-
췌장암 신약 치료효과, 미니장기 ‘오가노이드’로 약물반응 예측 정확도 높여
-
음주문제와 정신장애, 같은 유전자 공유한다 … 독립 질환 아닌 유전적으로 연결된 복합질환
-
스텐트시술 후 1년 내 암 진단, 초기 암에 출혈관리 가능하면 한달 내 암수술
-
위암 환자,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RAS)’ 받으면 회복 빨라지고 통증 줄어
-
정제훈 순천향대 부천병원 교수, 골다공증 개선 프로바이오틱스 복합균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