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식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김찬식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최근 열린 제80차 대한통증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SCI(E)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최근 1년간 국내외 SCI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가운데 통증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연구자에 수여된다.
김 교수는 ‘만성 하지 신경뿌리통증 환자에서의 박동성 고주파술’ 논문을 올해 2월 신경조절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 ‘신경조절(Neuromodulation)’에 발표해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박동성 고주파술은 통증이 있는 신경 근처에 강한 전기장을 가해 통증을 감소시키는 치료다. 척추추간판탈출증이나 척추관협착증 등으로 척수에서 갈라져 나온 신경뿌리에 염증이 생기고 압박이 가해져 손상된 만성 신경뿌리통증 환자에게 주로 시행된다.
박동성 고주파술은 일반적으로 6분간 시행되어 왔으나, 시술 지속시간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학계에서는 시술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통증이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다.
김 교수는 일반적인 기대와 달리 박동성 고주파술 지속시간을 6분에서 12분으로 늘리는 것이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추가적인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지속시간을 늘리는 경우 미세 신경손상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이 연구는 박동성 고주파술 시술 지속시간이 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 눈가림 무작위 배정 연구를 통해 규명한 최초의 논문이다.
김 교수는 신경병성통증, 경부 및 요부하지통증 등 만성통증의 진료 및 시술을 전문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대한통증학회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한 데 이어 2년 연속 학술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김성환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김성환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지난 21일 열린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노인정신의학 발전에 기여한 만 40세 이하 연구자에게 주어진다.
김 교수는 알츠하이머병·노인인지장애·근감소증 분야에서 SCI급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해 국내외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임상과 연구를 병행하며 고령 환자 삶의 질 향상에 힘써왔다”며 “뇌건강·치매 연구를 통해 고령사회에 필요한 근거 기반 진료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원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전공의
문재원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전공의가 최근 열린 제74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연제 발표상을 수상했다.
문 전공의는 ‘녹지 수준과 초미세먼지 노출이 출산결과 및 생후 24개월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연구를 통해 녹지 수준이 높을수록 출산 및 생후 2년 시점의 신장이 증가하며,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후 2년째 체중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임신 중 환경적 요인이 영유아기 성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