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와골절 CT 진단에 딥러닝 기술 적용 … 정확도 99.5% 달성
-
유승아 가톨릭대 교수팀, MIF(대식세포 이동억제 인자) 증가가 류마티스관절염 원인 규명
-
원인 못 찾던 뇌출혈 환자 4명, ‘뇌척수액 정맥 누공’으로 정밀진단, 세브란스서 모두 쾌차
-
국립암센터, 1기 식도암 및 수술가능 식도암 임상연구 양성자치료 환자 등록률 86%, 87%
-
권성훈 서울대 교수팀, 하루 만에 의약품 무균 여부 판별하는 신속 검사법 개발
-
소아 지방간 예측에 체질량지수(BMI)보다 ‘허리-엉덩이 비율’(WHR) 지표가 더 정확
-
인하대병원, 내시경 지혈술 분말제 ‘넥스파우더’ 위장관 출혈 재발 예방 효과 증명
-
집에서 찍은 1분 영상으로 AI가 분석해 자폐 위험 조기 선별
-
병원 밖 심정지, 30분 이내 응급실 이송 시 사망률 및 심각한 뇌 손상 53% 이상 감소
-
중등도 대동맥판막협착에 중등도 대동맥판막역류 공존하면 중증 환자만큼 위험
-
나정임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 글로벌 피부질환 ‘실시간 현황’ 보여주는 세계지도 개발
-
40세 이전 조기 폐경 여성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 2배 높아 … 선별검사 필요
-
만성췌장염은 물론 급성췌장염, 췌장암, 췌장수술 후에도 췌장효소대체요법(PERT) 적용 필요
-
서울대병원,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 간·신장에 이어 폐 섬유화 치료 효과 확인
-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소음의 반대파동으로 상쇄), 소음 차단 넘어 뇌 집중력까지 높인다
-
서울아산병원, 인공지능으로 X-레이 영상 판독해 신생아 생명 위협 ‘장천공’ 조기 진단
-
평소보다 음주량 늘었다면 ‘위암’ 주의 … 금주, 절주하면 위험 줄어
-
서울대병원, BRF2 변이로 인한 새 희귀질환 발생 기전 세계 최초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