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아 교모세포종은 WHO 최신 기준으로 ‘소아 고등급 교종’(pHGG)로 분류해야
-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소아 악성 뇌종양 환자를 2021년에 개정된 세계보건기구(WHO) 중추신경계 종양 분류 5판(WHO CNS5)에 따라 재분류한 결과, 과거 교모세포종이...
- 2025-10-24
-
- 민복기 박사, 안과수술용 ‘칼라지온 포셉’ 활용 속눈썹 이식술 정밀도 높여
- 피부 및 모발 이식 분야 권위자인 민복기 올포스킨피부과의원 원장(의학박사, 대구광역시의사회 회장)은 의료용 집게 ‘칼라지온 포셉’(Chalazion Forcep)...
- 2025-10-23
-
- 이동원 건국대병원 교수, 자가 대퇴사두건 이용 전방십자인대 재수술의 안정적 생착과 기능 회복 입증
- 이동원 건국대병원 스포츠수술·통증클리닉 정형외과 교수팀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대퇴사두건-골편(quadriceps tendon autog...
- 2025-10-23
-
-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2제 요법(테고프라잔+아목시실린)으로도 가능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자에게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성분명 테고프라잔)와 고용량 아목시실린을 기반으로 제균요법을 하면 효과적인 제균치료가 ...
- 2025-10-23
-
- 유럽심장학회 첫 발표한 심낭질환 가이드라인에 삼성서울병원 연구논문 3편 인용
- 삼성서울병원이 2009년 국내 최초로 심낭질환 클리닉을 개설한 이후 16년 동안 축적해 온 전문 진료와 수술 치료, 임상연구 성과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이 ...
- 2025-10-23
-
- 고려대-KIST, 얼려 굳힌 하이드로젤로 세포외 소포체 간편 분리법 개발
- 최낙원 고려대 의대 융합의학교실, 봉기완 공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은 강지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와 공동으로, 다양한 생체액(biofluid)에서 별도...
- 2025-10-23
-
- 면역항암제의 삼중음성유방암 치료효과, 조절T세포가 좌우
- 난치성 유방암으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면역항암치료 효과가 낮은 환자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생체지표)가 발견됐다. 이를 통해 환...
- 2025-10-22
-
- 국립암센터, 천연물 상사화 성분으로 폐암 항암제 내성 잡는다
- 국립암센터는 수선화과 식물인 상사화에서 추출한 천연물 성분 ‘나르시클라신’(Narciclasine)이 항암제와 함께 사용될 때 폐암세포의 사멸을 크게 촉진...
- 2025-10-22
-
-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로 골수 오가노이드 구현 … 방사선 노출 시 조혈세포 손상·회복 과정 정밀 재현
- 최상필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와 정재민 서울여대 교수팀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iPSC, 역분화줄기세포)로부터 인간 골수 오가...
- 2025-10-21
-
- 한국인·동아시아인에선 유방암‧대장암 유발 CHEK2 유전자 변이가 서양인과 달라
- 국립암센터가 주도한 국내 다의료기관 연구에서 한국인과 동아시아인에서 암 발생 위험과 관련된 CHEK2 유전자 변이 분포가 서구인과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
- 2025-10-21
-
- 해운대백병원, ‘소장요관 문합술’ 로봇수술 성공 … 동시에 소장 절제와 요관 재건
- 오철규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와 정원범 대장항문외과 교수팀은 최근 심한 요관협착으로 신장에 소변이 고이는 수신증이 생긴 환자에게 소장 ...
- 2025-10-20
-
- 아토피피부염 유아, ‘한식 위주 식단’이 ‘간식 위주 식단’보다 가려움증 적어
- 아토피피부염을 겪는 미취학 어린이(만 3~6세)의 식사습관이 장내 미생물 환경과 증상에 어떤 연관을 보이는지를 밝힌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같은 질환의 ...
- 2025-10-20
-
- 양자점 나노복합체로 10분 만에 감염 및 염증질환 초고속·초정밀 진단 가능성 제시
- 박준혁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 교수(공동 교신저자, 의대 의생명과학교실)와 김성지 포항공대 화학과 교수(공동 ...
- 2025-10-20
-
- 진정제 덱스메데토미딘+진통제 레미펜타닐+흡입마취제 세보플루란 병용 ‘균형 마취’ 소아 지능·행동 발달에 영향 없어
- 이지현·지상환 서울대병원 소아마취통증의학과 교수팀은 생후 2세 미만 소아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임상연구에서 짧은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지능이...
- 2025-10-17
-
- PET 촬영용 방사성동위원소와 수술용 형광물질 탑재한 스마트 나노플레이트 국내 개발
- 이용진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 및 최진호 단국대 박사(이상 공동 교신저자)팀은 암을 진단하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과 수술 중 실시간으로 암 부위를 확인...
- 2025-10-17
-
- 인공지능의 ‘재현성’ ‘설명가능성’ ‘지도학습’ 능력이 암 진단·치료 혁신 앞당긴다
- 데이비드 호(David Ho)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교수팀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암 정밀진단·맞춤치료의 최신 동향을 다룬 리뷰 논문을 ...
- 2025-10-17
-
- 국립암센터, ‘살모넬라균’ 항생제 내성 ‘ResT 독소 단백질’이 원인 규명
- 장석원 국립암센터 생명정보연구과 연구원은 은형종 서울대 약대 박사, 이봉진 아주대 약대 교수팀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이 항생제에 살아남는 비...
- 2025-10-16
-
-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 항혈전제 복용 시 안구 중증출혈 위험 최대 2.3배 증가
-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가 심혈관질환 치료를 위해 항혈전제를 복용할 경우, 수술이 필요한 안구 내 중증출혈 위험이 최대 2배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결...
- 202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