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크모 치료의 난제 ‘염증’, 혈액정화요법으로 돌파구 마련
-
폐암 조직 슬라이드(H&E)만으로 인공지능 기반 ALK 양성 여부 95% 판별
-
50세 이하 젊은 유방암(치밀암), 수술전 MRI 검사하면 수술후 같은쪽 유방 내 국소재발 감소
-
우울증 치료하려 비타민C 먹는 건 ‘과학적 근거 부족’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이온셀, 자궁경부암 면역치료제 ‘TF-BiTE’ 개발
-
사이버나이프, 전립선암 치료에 장기간 효과 … 10년간 영역림프절 제어율 97.3%
-
한기훈 고려대 교수팀, 희귀 뇌발달질환 ‘웨스트증후군’의 발작 양상 변화 과정 규명
-
서울성모병원-고려대 연구팀, 타액 기반 비침습적 두경부암 진단 플랫폼 개발
-
DPP-4 억제제 계열 당뇨약, 파킨슨병 진행 막는다
-
눈 망막 혈관 밀도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위험 커져 … 죽상경화 위험 최대 3배
-
‘SGLT2 억제제’ 당뇨병 주요 합병증인 심부전·신부전 치료·관리에 긍정적 효과
-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산모-태아 애착 높이는 ‘챗봇 기반 태교 프로그램’ 개발
-
두경부암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예측 … 인공지능 ‘세포 GPT’ 활용
-
유전자 31개로 치매 위험 예측 … ‘한국형 최적 다유전자 위험점수’ 나왔다
-
PI3K 폐암 표적항암제 내성에 ‘클로로퀸’ 투여 … ‘자가포식’ 억제해 암 살상력 높여
-
아주대병원, 인공지능(AI) 기반 허리디스크 절제술 후 재발 예측 모델 개발
-
고령층, 정상 체중이어도 허리둘레 크면 암 위험 증가
-
국립암센터, 재발성 뇌종양에 단회투여 정맥주사 CAR-T로 안전성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