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레르기비염 동반 기침 치료에 2세대 항히스타민제 효과 없어 … 불필요한 사용 피해야
-
지난해 수면장애 환자 110만명 … 60대가 25만2829명(23%)으로 최다
-
한양대 구리병원, 술 한잔에 얼굴 붉어짐은 협심증 및 심근경색 위험요소
-
임산부, 신생아 GBS 감염 예방 배양검사는 선택 아닌 ‘필수’
-
고열에 기침하는데 독감도 코로나도 아니면 ‘백일해’ 의심
-
B형간염 치료 개시, ‘염증’ 대신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 삼아야
-
심방세동 있는 당뇨병 환자, 심혈관질환·신부전·당뇨발 등 합병증 위험 상승
-
한국인 1만명 당 1명, 경계성 인격장애 … 10년간 증가세 자살위험 상승
-
2030 젊은 남성 ‘건강하지 못한 비만’ 주의보
-
뇌졸중 유발하는 ‘위험한 침묵’, 경동맥협착증
-
오십견 등 어깨 아픈 환자 5년새 7%↑…‘5060’이 절반 차지
-
박영준 아주대병원 교수, 난치성 색소질환, ‘리엘흑색증’ 신 복합치료법 제시
-
피임 필요 없어도 이럴 때는 ‘경구피임약’ 복용해야
-
한국에서 가장 흔한 급성 바이러스 간염은 A형(78.8%)과 E형(7.5%)
-
“럼피스킨병 유행은 폭스바이러스의 경고 메시지”
-
녹내장 환자, 금주하면 음주자 비해 실명 위험 37% 낮아져
-
아주대 연구, 어르신들 전자기기와 친하면 우울 낮고, 인지기능 높아.
-
테니스·요가·필라테스 열풍, ‘척골충돌증후군’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