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의 당뇨병 환자 심혈관질환 위험도 낮춘다
- 새로운 당뇨병 약제 SGLT2 억제제가 고령의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승진·김대중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팀은 2014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
- 2021-06-09
-
- 로봇 복강경 수술로 28cm ‘거대 자궁근종’ 제거 성공
- 김슬기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9일 로봇 복강경수술로 28cm에 달하는 거대 자궁근종 제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그동안 세계 학계에 보고된 로봇 복강경수술 성공 사례 중 가장 실적이 우수...
- 2021-06-09
-
- 인공지능(AI) 기술로 소아 골육종 치료반응·전이 예측도 높여
- 인공지능 기술로 소아 골육종의 치료반응과 전이 예측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됐다. 우상근·공창배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은 소아 골육종 환자의 수술 전 항암치료 반응 및 전이를 보다 정...
- 2021-06-08
-
- 척추수술 후 통증증후군, 비수술치료법 ‘유착박리술’ 성공 요인 규명
- 치료가 쉽지 않은 척추수술 후 통증증후군의 비수술 치료법 중 유착박리술의 성공 예측 요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박휴정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통증센터 교수(마취통증의학과)와 김지...
- 2021-06-07
-
- 당뇨발 감염 유발 원인균, 샅샅이 찾아낸다
- 당뇨발 감염 원인균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 나왔다. 당뇨발로 불리는 당뇨병성 족부질환은 당뇨환자 발에 발생하는 궤양, 말초신경병증으로 감염이 발생하기 쉽고 심하면 발을 절단해야할 만큼 ...
- 2021-06-07
-
- 한국 노인 대뇌 백질고강도신호 확률지도 완성
- 뇌혈관질환과 혈관성 치매를 일으키는 백질고강도신호가 단순 노화로 생길 수 있는 수준인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병적인 수준인지 구분해주는 정량적 기준이 개발됐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정...
- 2021-06-07
-
- 제주에서 신증후군 출혈열 병원체 한탄바이러스 최초 발견
- 제주지역에서 신증후군 출혈열(유행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새로운 유전형의 한탄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송진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팀은 제주도에서 채집된 설치류에 속하는 제주도 ...
- 2021-06-02
-
- 4D 프린팅 기술 이용 척추 유합 골재생 치료법 개발
- 4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척추유합용 골재생 치료법이 개발됐다. 한인보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김근형 성균관대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교수팀과 4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콜라겐과 하...
- 2021-06-02
-
- 정확도 획기적으로 높인 한국인 협심증 예측모델 제시
- 기존 서양인 기준의 협심증 모델에 심전도 기반 QT간격을 추가로 활용해 한국인 협심증의 예측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예측모델이 개발됐다. 박성미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조동혁, 박...
- 2021-06-02
-
- 소아 외상환자 예후, 활력징후 보다 ‘염기결핍’이 정확
- 소아 외상환자에서 중증 출혈쇼크 발생 시 다른 응급질환과 달리 ‘활력징후’가 아닌 ‘염기결핍 수치’로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고유라·김중헌 아주대병원 응급의...
- 2021-06-02
-
- 중노년층 칼슘 섭취, 근감소증 예방
- 중·노년층의 칼슘 섭취가 근감소증을 예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영상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김범택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인체 내 칼슘량이 근감...
- 2021-06-01
-
- 약물 임의중단 잦은 조현병, 1~3개월 간격 주사제가 더 효과적
- 약물 복용의 임의 중단이 잦은 조현병(옛 정신분열증) 환자의 치료에서 1~3개월 간격으로 투여하는 장기 지속성 주사제의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에 따라 복약 순응도가 낮은 조현병 환...
- 2021-05-31
-
- 복부 CT영상으로 대사증후군 조기진단 가능
-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로 대사증후군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권순효 순천향대서울병원 신장내과 교수팀(이은지 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조남준 천안병원 신장내과, 서울병원...
- 2021-05-31
-
-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민’ 효과, 장내 미생물군집에 영향 받아
-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메트포민의 치료효과가 장내 미생물군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재용 분당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 교수팀은 이러한 사실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28일 발...
- 2021-05-28
-
- 의과학 융복합 기술로 ‘유전자교정 세포치료제’ 개발
- 간·중추신경계·신장에 축적돼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하고 특히 간암 발병율을 높일 수 있는 티로신혈증 등 유전성 난치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을 현저히 낮춘 ‘유전자교정 세포치료 방식’ ...
- 2021-05-27
-
- 항암 신약 급여화, 22개월 수명 연장 효과 있어야
- 항암 신약이 건강보험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평균 22개월의 생존 연장 효과를 보여야 한다고 국민들이 생각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석범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학과 교수와 암관리정...
- 2021-05-27
-
- 파라벤 방부제 성분 과다, 피부소양증·아토피 습진 악화 위험
- 화장품이나 헤어제품, 음식물 방부제로 흔히 사용하는 메틸파라벤의 체내 농도가 높을수록 피부소양증 및 아토피 습진의 발생률이 증가해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 나왔다. 또한 치약이나 손세정제에...
- 2021-05-26
-
- 기계학습 기반 ‘한국형 심혈관질환 예측 모델’ 개발
-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이용한 심혈관질환 예측 모델이 개발됐다. 강시혁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와 조상영 창원경상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국내 인구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
- 2021-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