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주 이대목동병원 교수팀, 조산 예측 新바이오마커 발굴
-
서울대병원, MRI 조영제 겸 뇌암 온열치료물질로 동시 사용가능한 나노물질 개발
-
연세대 의대, 항암제에 내성 갖는 전이암 잡을 ‘SERCA’ 억제제 개발
-
선천면역 조절자 TBK1, 두경부암 ‘치료 저항성의 열쇠’로 밝혀져
-
대사이상지방간질환(MASLD), 근력 약하면 심혈관질환 위험 커져
-
SCL, 간암 조기 예측 'ASAP 알고리즘' 국내 첫 도입
-
임신 21주 조기양막파열로 양수과소증 지속된 임신부 쌍둥이 출산 성공
-
신장이식 후 고혈압 완치 시 이식장기 예후와 생존율 모두 향상
-
당뇨병 환자, 신장내과 진료 시작하면 신장 기능 안정화된다
-
서울대병원, 다중자세 X선 사진 기반 AI로 요추협착증 진단 성능 향상
-
SCL, 경도인지장애 조기선별용 혈액 바이오마커 Aβ42 검사 국내 최초 출시
-
사망률 두 배 높은 ‘고심박수 뇌경색’ 베타차단제 복용하면 생존율 향상
-
선천적인 무릎 내반 정렬, 심할수록 관절염 중증도와 밀접한 연관
-
고려대 백신혁신센터, 신증후군출혈열 임상시험용 mRNA백신 개발 청신호
-
암 생존자에 대기오염 노출은 골다공증 위험 높여
-
스텐트 시술 관상동맥환자, 평생 유지요법으로 클로피도그렐이 아스피린보다 우수
-
정찬권·이현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교수진, 정밀진단 위한 NTRK 유전자 융합 진단 알고리즘 개발
-
AI로 대장암 간전이 환자의 예후와 생존율 정밀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