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만성 간질환 환자 ‘간암 예방’ 효과
-
기계적 자극 전달 관련 ROCK1가 세포 섬유조직 형성 촉진, 켈로이드 유발
-
뇌경색 환자, 젊을수록 당뇨병 기간에 따른 위험 1.84배 높아진다
-
고령 환자 위협 ‘수술 후 심뇌혈관질환’ 인공지능으로 예측
-
길병원,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 부작용 개선 새 부갑상선호르몬 유사체 발견
-
김현구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팀, ‘식도암 단일공 로봇수술’ 회복·통증개선 효과 세계 최초 입증
-
골스캔 기반 골 전이 여부 진단에 인공지능 최신 모델 ‘ConvNeXt’ 정확도 가장 높아
-
국립암센터, 췌장암 생존 예측 가능한 핵심 바이오마커 2종 규명
-
서울아산병원, 식도암 국소 치료 가능한 광역학 치료용 카테터 개발
-
서울성모병원, 난소암 재발 예측 바이오마커 규명 … CT검사와 공간전사체 유전자분석 융합
-
암검진 사각지대, 젊은층의 ’미만형 위암’ … 펩시노겐2 검사로 조기 진단 가능
-
경희대, 식이 철 결핍의 글로벌 질병 부담 연구 세계 최초 수행
-
고려대 안산병원, 신개념 골전도 보청기 개발 … 저음·고음 고른 청각 전달력
-
서울아산병원 ‘양악수술 후 내 모습’ 미리 보여주는 AI 모델 개발
-
‘miR-4497’ 감소하면 아토피·비염·천식 유발 … 알레르기질환 진단 및 치료 단서
-
용인세브란스병원, 디지털 정신건강 치료에 대한 환자 감수성 척도 개발
-
천식 치료, 첫 1년이 미래 결정 … 흡입치료 임상관해 달성 여부가 성패 좌우
-
분당서울대병원, 혈액 속 유전자 변화로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가능성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