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만성 간질환 환자 ‘간암 예방’ 효과
- 고지혈증 치료제로 많이 쓰이는 스타틴이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세포암(간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염, 지방간 등 간질환을 오랜 기간 앓...
- 2025-04-30
-
- 기계적 자극 전달 관련 ROCK1가 세포 섬유조직 형성 촉진, 켈로이드 유발
- 박지웅 서울시 보라매병원 성형외과 교수팀이 피부 질환 중 하나인 ‘켈로이드’의 발생 기전을 근본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
- 2025-04-29
-
- 뇌경색 환자, 젊을수록 당뇨병 기간에 따른 위험 1.84배 높아진다
- 뇌경색 환자는 당뇨병을 오래 앓을수록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서 당뇨병 지속 기간에 따른 치매 위험 ...
- 2025-04-29
-
- 고령 환자 위협 ‘수술 후 심뇌혈관질환’ 인공지능으로 예측
- 고령 환자에서 수술 후 주요 합병증인 심뇌혈관질환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정원 분당서울대병원 순환...
- 2025-04-29
-
- 길병원,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 부작용 개선 새 부갑상선호르몬 유사체 발견
- 장기 사용 시 뼈가 약해질 수 있는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의 부작용 없이, 효과는 우수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이 제시됐다. 이시훈 가천대 길병원 내...
- 2025-04-28
-
- 김현구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팀, ‘식도암 단일공 로봇수술’ 회복·통증개선 효과 세계 최초 입증
- 김현구, 이준희, 구병모 고려대 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 장유진 위장관외과 교수팀이 식도암 수술에서 단일공 로봇수술이 기존 다개공 로봇수술 및 ...
- 2025-04-28
-
- 골스캔 기반 골 전이 여부 진단에 인공지능 최신 모델 ‘ConvNeXt’ 정확도 가장 높아
- 인공지능(AI) 모델 중 ResNet보다 이를 개선한 ConvNeXt가 암의 골 전이 진단에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석현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영상...
- 2025-04-28
-
- 국립암센터, 췌장암 생존 예측 가능한 핵심 바이오마커 2종 규명
- 우상명, 공선영, 전중원 국립암센터 간담도췌장암센터 교수팀이 췌장암 환자의 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두 가지 중요한 바이오마커를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
- 2025-04-28
-
- 서울아산병원, 식도암 국소 치료 가능한 광역학 치료용 카테터 개발
- 광역학 치료는 빛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광응답제를 혈관에 주입한 다음 특정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해 표적세포를 파괴하는 치료법으로, 식도암 환...
- 2025-04-28
-
- 서울성모병원, 난소암 재발 예측 바이오마커 규명 … CT검사와 공간전사체 유전자분석 융합
- 난소암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을 느끼기 쉽지 않아 대부분 말기 (3~4기)에 진단이 된다. 말기 난소암은 재발률이 높고, 재발을 거듭할수록 내성이 생겨 치료가 ...
- 2025-04-28
-
- 암검진 사각지대, 젊은층의 ’미만형 위암’ … 펩시노겐2 검사로 조기 진단 가능
-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임선희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소화기내과 교수)은 혈액검사를 기반으로 펩시노겐2 수치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
- 2025-04-24
-
- 경희대, 식이 철 결핍의 글로벌 질병 부담 연구 세계 최초 수행
- 연동건 경희대 의대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전 세계 204개국의 글로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이 철 결핍(dietary iron deficiency)’에 의한 질병 부담을 연도...
- 2025-04-24
-
- 고려대 안산병원, 신개념 골전도 보청기 개발 … 저음·고음 고른 청각 전달력
- 낮은음부터 높은음까지 전 대역의 주파수에서 소리 전달력을 높인 신개념 골전도 보청기가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기존 골전도 보청기는 낮은음의 저주파 대...
- 2025-04-23
-
- 서울아산병원 ‘양악수술 후 내 모습’ 미리 보여주는 AI 모델 개발
- 양악수술을 받은 뒤의 내 모습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미리 보여주는 방사선 영상 생성 기술이 개발됐다.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성상진·김...
- 2025-04-23
-
- ‘miR-4497’ 감소하면 아토피·비염·천식 유발 … 알레르기질환 진단 및 치료 단서
- 고려대 의대 연구팀이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천식에서 공통으로 감소한 ‘miR-4497’이라는 유전자 조절물질이 알레르기 진단 및 치료의 단서가 ...
- 2025-04-23
-
- 용인세브란스병원, 디지털 정신건강 치료에 대한 환자 감수성 척도 개발
- 박진영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박해인 임상심리사)은 최근 디지털 치료 환경에서의 적응력을 평가하는 디지털 감수성 척도를 개발...
- 2025-04-22
-
- 천식 치료, 첫 1년이 미래 결정 … 흡입치료 임상관해 달성 여부가 성패 좌우
- 천식 치료에서 흡입 스테로이드(ICS) 치료 첫 1년 내에 ‘임상관해’를 달성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폐 기능 감소 속도가 느리고, 중증 증상...
- 2025-04-22
-
- 분당서울대병원, 혈액 속 유전자 변화로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가능성 제시
- 박영호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한상원 순천향대 서울병원 교수·편정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황지윤 연구원·인디애나대학 노광식 교수...
-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