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론병으로 막힌 소장, 수술 대신 풍선내시경확장술로 치료 가능
- 크론병으로 소장이 막혔을 때 내시경 풍선확장술만으로도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기존에는 협착이 발생한 소장 부위를 잘라내야 해서 ...
- 2025-05-28
-
- 젊은층은 제외, 고령층은 포기 … ‘위암 검진’ 사각지대, 혈액검사로 가능성 찾았다
- 김나영·최용훈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혈액검사를 통해 위암의 전 단계인 위선종과 조기 위암 고위험군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지표를 ...
- 2025-05-28
-
- 연세대, 암환자 조직병리 사진으로 MSI-H 판별 …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AI 모델 개발
- 정재호 연세대 위장관외과(종양외과, 종양생물학) 교수가 암환자 조직병리 사진을 분석해 면역항암제 효과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정 교수...
- 2025-05-27
-
- 보라매병원, 국내 최초 4D 심장내 초음파 활용 좌심방이폐색술 성공
- 권순일 서울시 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국내 최초로 소형 4차원(4D) 심장내 초음파(intracardiac echocardiography, ICE)를 활용한 좌심방이폐색술을 성공적으로 ...
- 2025-05-27
-
- 장영우·강웅철 길병원 교수팀, 유럽심장중재학회 ‘Top 3 Late Breaking Trials’ 선정
- 장영우(제1저자)·강웅철(교신저자) 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연구한 ‘프라수그렐-기반 1개월 이중항혈소판요법(prasugrel-based dual ...
- 2025-05-26
-
- 원외 발생 심정지(OHCA)후 회복한 10명 중 4명 재입원… 검진·재활 등 집중관리 필수
-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로 인해 입원치료를 받고 생존한 환자 10명 중 4명이 퇴원 후 1년 이내에 다시 주요 심혈관질환으로 입...
- 2025-05-26
-
- 다발성경화증·시신경척수염, 다른 자가면역질환도 부른다
- 다발성경화증과 시신경척수염범주질환 환자는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할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가면역질환의 하나인 다...
- 2025-05-26
-
- 세브란스병원, 면역세포가 약물을 표적세포로 전달하는 플랫폼 개발
- 약물을 면역세포로 표적 부위까지 이동시켜 약물만 직접 이동시키는 것보다 전달 효율을 높인 새로운 플랫폼이 개발됐다. 성학준‧유승은 연세대 의대 의학...
- 2025-05-26
-
-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새 전기, 신약후보 ‘KF1601’ 전임상 효능 입증
- 김동욱 의정부을지대병원 혈액내과 교수(을지대 백혈병오믹스연구소장)팀은 차세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후보물질 ‘KF1601’이 기존 약물 내성을 ...
- 2025-05-23
-
- 척추관절염 환자서 생물학적제제는 급작스런 중단보다 완만한 감량 중요
- 생물학적제제의 효과가 많이 밝혀져 있지만, 척추관절염 환자에서는 생물학적제제를 사용해 관해에 도달한 이후에는 어떻게 조절할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 2025-05-23
-
- 서울대병원 2014년 개발 심혈관용 인공패치, 우수한 장기 내구성 입증
-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소 심낭을 이용해 개발한 심장 및 혈관 재건 치료용 인공패치가 장기적으로 우수한 치료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은 환자...
- 2025-05-23
-
- 박세우 동탄성심병원 교수, 국내 최초 말기암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회장결장연결술’ 성공
- 박세우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국내 최초로 다발성 복막전이를 동반한 말기암으로 소장이 막힌 환자에게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회장결...
- 2025-05-23
-
- 폐경전 저위험군 자궁내막암, CA125 수치 높아도 림프절 절제술 필수 아냐
- 김기동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저위험군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받은 폐경 전 환자의 경우, 암 표지자인 ‘CA125’ 수치가 높더라도 림프절 절...
- 2025-05-22
-
- 질폐쇄술, 고령 여성 골반장기탈출증에 안전하고 효과적 … 환자만족도 98.4%
- 이택상, 이다용 서울시 보라매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20년에 걸쳐 수행한 임상 연구를 통해 고령 여성의 중증 골반장기탈출증 치료에 질폐쇄술(Le Fort partial co...
- 2025-05-22
-
- 3D 특허 기술로 실제 무기폐 상태 구현 … ‘폐결절’ 위치 미리 본다
- 황진욱 고려대 안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팀(황인태·함성원 안산병원 의생명연구센터 교수, 김초희 전 안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이 실제 수술 환...
- 2025-05-20
-
- 노년층 대장내시경 부작용, ‘노쇠지표’ ‘복용약물지표’ 보면 예측 가능
- 대장암 또는 전암 단계에 놓인 용종을 진단하고 조기 치료를 시행함에 대장내시경 검사는 매우 중요하다. 노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매년 대장내시경 시술...
- 2025-05-20
-
- 삼성서울병원, 신장 기증 후 잔여 신장 기능 예측 AI모델 개발
-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발간한 ‘2023년도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통계연보’에 따르면 해당 연도 생체 장기 기증 건수 중 신장은 1257건이었다. 생체 ...
- 2025-05-20
-
- 인공 고관절 재수술 원인 … 무균성 해리, 감염, 인공관절 주위 골절, 인공 삽입물 마모 및 골용해 순
- 이영균⦁박정위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이 인공고관절수술 후 재수술을 야기한 주요 원인을 확인해 발표했다. 총 515건의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을 분...
-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