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지 예비능 관련 다유전자 점수 높을수록 파킨슨병 진행 속도 늦어져
- 허영은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인지 예비능(cognitive reserve)의 다유전자 점수(polygenic score)가 높을수록 파킨슨병의 진행을 느리게 한다는 연구...
- 2025-08-20
-
- 하나이비인후과병원, 인공와우수술 부작용 크게 줄인 이식체 개발
- 인공와우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극 삽입 외상으로 초래되는 청력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새로 제시됐다. 전극삽입외상은 인공와우수술의 주요 숙...
- 2025-08-19
-
- 박해철·심지석 고려대 의대 교수팀, 치아발달의 핵심 유전자 ‘Axin2’ 규명
- 박해철 고려대 의대 융합의학교실, 심지석 치과학교실 교수팀이 치아의 성장 속도가 늦고 단단해지지 않는 유전적 원인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제브라피쉬 ...
- 2025-08-19
-
- 정희정 소아청소년과 교수, 강남차병원서 진료 시작 … 영유아 발달장애 권위자, 필라델피아·세브란스서 진료
- 차의과학대 강남차병원은 영유아·어린이 발달 분야 권위자인 정희정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새롭게 진료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지난 8월부터 강남차...
- 2025-08-19
-
- 당뇨병 환자 골칫거리 ‘다리통증’ … 척추주사로 감소 효과, 만성·저강도 통증은 효과 떨어져
- 김영준·이준우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팀은 다리 통증을 호소하는 당뇨병 환자도 비당뇨인과 마찬가지로 척추주사 시술을 통해 통증 감소 효과를 ...
- 2025-08-19
-
- 고려대 구로병원, 흡입형 폐섬유증 치료제 개발 성공
- 김현구 고려대 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팀(박지호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김창근 고려대 구로병원 박사과정, 장민철 KAIST 박사과정)이 특발성 ...
- 2025-08-19
-
- 헬리코박터 제균 시 골다공증 유병률 29% 감소 … 非제균 34.5% 대 제균 24.5%
-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김예진 전문의, 최용훈 교수, 공성혜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은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를 받으면 골다공증 발병률이 29...
- 2025-08-18
-
- 차병원·차헬스케어·카카오헬스케어, 과천 막계지구 ‘AI 바이오헬스케어 단지’ 조성 협약 … 맞춤 의료서비스 제공
- 차병원은 차헬스케어, 카카오헬스케어와 함께 ‘과천막계지구 AI 기반 첨단 바이오 헬스케어 단지’ 조성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
- 2025-08-18
-
- 측경부까지 전이된 갑상선암, 겨드랑이 2cm 절개해 흉터 없이 측경부임파선곽청술 시행
- 갑상선암 치료에서 겨드랑이 절개로 시행하는 가스 주입 원스텝 단일공 겨드랑이 접근법(gas-insufflation one-step single-port transaxillary approach, GOSTA)이, 흉터 부담이 ...
- 2025-08-18
-
- 수술 부담 큰 대동맥판막 재치환술, 3D완전내시경으로 치료 성공
- 대동맥판막이 석회화되면서 좁아져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고령·중증 대동막판막협착증 환자에게 스텐트를 통해 대동맥판막을 인공판막으로 교체하는...
- 2025-08-18
-
- 국립암센터, 유전성 암 환자와 가족 위한 한국형 의사결정 도구 개발 필요
- 유전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도구를 활용해야 더 효과적인 치료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소연 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
- 2025-08-18
-
- 치매 환자와 인공지능이 통화하면 기억력 개선되고 우울감은 낮아져
- 김희진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팀(강성우 교수, 이윤진 박사)이 인공지능(AI) 기반 ‘케어콜(Care Call)’ 서비스가 치매 환자의 기억력 향상과 우울 증상 ...
- 2025-08-18
-
- 흡입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하면 특발성 폐섬유증 위험 높아져
- 흡입형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고용량 투여가 특발성 폐섬유증(IPF)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원인 불명의 만성 ...
- 2025-08-18
-
- 유방암 환자, 항암치료 중 인지기능 저하 일시적 … 치매 위험과는 무관
- 치매에 관한 유방암 환자의 지나친 걱정, 더이상 하지 않아도 된다는 보고가 나왔다. 암환자는 항암치료 과정에서 기억력, 집중력 저하와 같은 ‘케모 브레...
- 2025-08-18
-
- 질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으로 여성 건강 진단 패러다임 전환
- 박선화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교수를 중심으로 국제 연구팀은 여성 건강 진단에서 객관성과 정확도 높은 ‘질 마이크로바이옴(Vaginal Microbiome) 분석’...
- 2025-08-14
-
- 서울대치과병원-태평양, 차세대 치과전용 플랫폼 개발 MOU 체결
- 법무법인 태평양(BKL)이 서울대치과병원과 ‘차세대 치과전용 플랫폼 개발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 2025-08-14
-
- 서울대병원, 의료기기 평가 디지털 전환…‘UPs’ 개발
-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기술원이 의료기기 사용적합성평가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자체 개발한 ‘사용적합성평가 업무 시스템(UPs)’을 도입했...
- 2025-08-14
-
- 국립암센터, 마우스 아바타 활용 BRCA1결실 유방암의 대사억제 예방 및 치료법 개발
- 김상수 국립암센터 방사선의학연구과 박사팀이 BRCA1 유전자 결실로 유발되는 유방암의 발생과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
- 2025-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