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오 위키
EGFR

정의

표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表皮細胞成長因子受容體,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는 세포막에 연접한 단백질로 상피성장인자(EGF)와 결합하는 수용체이며 분자량은 약 170kDa(kilodalton)이다. ErbB-1, HER1으로도 불린다. EGFR 패밀리는 EGFR , HER, 2/c-neu, Her 3, Her 4 등 4종류의 서브패밀리(subfamily, 亞科)로 구성된다. 이들 수용체는 그 자체가 인산화효소의 일원이다. 세포표면에 붙어 있다가 리간드인 표피성장인자(EGF) 및 전환성장인자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등과 결합하면 티로신인산화효소(tyrosine kinase, TK)가 활성화된다. EGFR 단백질 C-말단의 티로신 잔기 부위에 TK가 작용한 결과로 ATP가 ADP로 전환되면서 유리된 인산(PO₄³)이 세포 안에서 특정 암 신호물질(PIK3, RAS, RAF 등)과 결합하면(인산화 과정) 암 발생 신호 경로가 과도하게 열려 발암이 촉진된다. EGFR이 적정하게 활성화되면 세포의 성장이나 상처 수복, 신경활동에 이롭게 작용하지만 과도하게 스위치 ‘온’ 상태가 되면 암이 발생하게 된다. 또 EGFR 과활성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가설이 나와 있다. 한편 EGF를 활용한 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제로 나와 있어 일체 질변을 치료하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동의어

표피성장인자수용체, 表皮成長因子受容體, 상피성장인자수용체,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rbB-1, HER1

관련어

tyrosine kinase, EGF

정보제공자

헬스오 위키

이전으로
  • 사노피 로고.jpg
  • 서울대병원 광고배너.jpg
  • 신풍제약 광고배너.jpg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 화이자 배너광고.jpg
  • 차병원배너(온라인배너)(266_100).png
  • 한림대의료원 로고.JPG
  • 동아에스티 로고.jpg
  • KGC인삼공사CI.jpg
  • 20230406215158-J8O9U.gif
  • 다케다제약_배너광고_240x80.gif
  • 아주대병원 광고배너.jpg
  • 중앙대병원 로고.JPG
  • 건국대병원 로고.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