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오 위키
면역관문억제제

정의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인체의 방어기능을 향상해 암세포와 싸우는 능력을 증강하는 표적형 면역항암제의 일종이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영악한 암세포가 면역 관문(Check point)에서 T-세포의 기능과 관련한 면역관문단백질(PD-1, PD-L1, CTL4 등)을 활용해 T-세포를 비활성화하고 암세포를 공격하지 못하도록 무력화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표적치료제다.
크게 T세포 표면의 PD-1(CD 279), 암세포 표면의 PD-L1(CD 274), T세포 기능 억제 단백질인 CTL4(CD 152)를 차단하는 3가지 계열로 나뉜다. PD-1억제제로는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와 일본 오노약품공업의 ‘옵디보주’ (Opdivo 성분명 니볼루맙, Nivolumab)가 있다. PD-L1 억제제로는 제넨텍의 ‘티쎈트릭주’(성분명 아테졸리주맙, Atezolizumab), 아스트라제네카 ‘임핀지주’(더말루맙, Durvalumab), 독일 머크·미국 화이자의 ‘바벤시오주’(아벨루맙 Avelumab) 등이 있다. 2011년 미국에서 승인받은 전이성 흑색종 치료제 ‘여보이주’(Yervoy 성분명 이필리무맙, ipilimumab)는 사상 최초의 면역관문억제로 CTL4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관문을 방해할 뿐 항암치료제처럼 세포독성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면역관문을 차단하기 때문에 면역 과활성화로 알레르기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이 발병할 수 있다. 간, 폐, 신장 등 주요 장기에서 면역관문이 억제돼 반복해서 염증을 일으키는 반응이 일어나 치명적인 부작용이 간혹 생기기도 한다.

동의어

immune checkpoint inhibitor

관련어

면역항암제, 면역세포치료제

정보제공자

헬스오 위키

이전으로
  • 사노피 로고.jpg
  • 서울대병원 광고배너.jpg
  • 신풍제약 광고배너.jpg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 화이자 배너광고.jpg
  • 차병원배너(온라인배너)(266_100).png
  • 한림대의료원 로고.JPG
  • 동아에스티 로고.jpg
  • KGC인삼공사CI.jpg
  • 20230406215158-J8O9U.gif
  • 다케다제약_배너광고_240x80.gif
  • 아주대병원 광고배너.jpg
  • 중앙대병원 로고.JPG
  • 건국대병원 로고.jpg